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KAIST, 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코로나19 등 감염성 병원체 대응 위한 백신 플랫폼으로 활용"

 

 

KAIST 전상용·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범용성 인플루엔자 백신 모식도

KAIST 전상용·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범용성 인플루엔자 백신 모식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전상용·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변이에도 면역이 가능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나노 구조체 형태의 플랫폼 기술로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성 병원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미 백신이 개발돼 있지만, 바이러스의 높은 변이율로 인해 면역원성(외부 물질을 인식하는 면역 반응의 강도)이 떨어져 매년 유행이 반복되고 있다.

이 때문에 해마다 백신을 새로 예측해 생산, 접종해야 하는 등 문제가 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만든 나노 구조체에 백신용 항원을 전달함으로써 면역원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증강제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연구팀은 자체 면역원성을 갖는 브루셀라 병원균의 외막 단백질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전달체로 활용했다.

외막 단백질 'B26'을 술통 모양의 나노 구조체로 만들어 면역증강제 없이도 자기조립을 통해 면역원성을 높이도록 설계했다.

여기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에 상관없이 범용성을 갖는데도 면역원성이 낮아 단독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M2e'를 결합, 새로운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했다.

동물실험을 통해 2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투여한 결과, 백신 투여군에서 100% 생존율과 낮은 체중 감소율 등 강한 면역 반응을 나타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동물 실험 결과 그래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동물 실험 결과 그래프

 

연구팀은 기술 이전과 임상시험을 진행, 앞으로 5년 안에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상용 교수는 "세균에서 유래한 단백질에 기반해 범용성 인플루엔자 백신을 개발한 것은 처음"이라며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다양한 감염성 병원체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백신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 나노'(ACS Nano) 지난 11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544
364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544
363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545
362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548
361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554
360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561
359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561
358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572
357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580
356 손종우교수님 UTSW – UT Dallas 국제 공동 연구팀 연구성과_Scientists Identify Source of Weight Gain From Antipsychotics 생명과학과 2021.05.14 586
355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588
354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593
353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593
352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593
351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594
350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602
349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608
348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612
347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621
346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6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