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인공지능 기반 임상·비임상 행동 시험 분석 회사 액트노바(대표 김대건)가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원 규모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밝혔다. 초기 기업이지만 세계 시장에서도 통하는 기술력과 상품성, 시장 잠재수요가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는 평이다. 

액트노바는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시험 과정을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회사측 설명에 따르면, 신약개발의 필수 단계인 안정성, 약효성 시험 과정에서 연구원이 실험 동물 및 환자를 직접 관찰, 평가해야 했다면, 해당 기술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양질의 실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치매나 파킨슨처럼 진단이 어려웠던 뇌질환도 증상 발현과 완화 정도를 파악하고 고도화된 행동 분석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이를 통해 임상·비임상 시험 과정 내 인력 간섭을 최소화하고, 치료제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상용화 완료된 인공지능 머신 비전 솔루션 ‘아바타 3D 시스템’(AVATAR 3D System)은 임상·비임상 인지, 행동 증상을 정량화하고 다양한 뇌질한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육안으로 볼 수 없었던 미세한 증상 변화를 발견할 수 있는 분석 능력을 갖추고 있어, 신약 개발 프로세스에서 후보 물질 효능을 판단할 수 있다. 해당 제품은 2022 CES 혁신상을 수상하며 해외 시장에서도 기술력을 검증 받았다. 

액트노바는 세계 시장 무대로 보폭을 확대할 계획이다. 연내 구독형 행동 분석 스코어링 서비스 ‘액트버스’를 해외 시장에 출시하고 세계 최대 신경과학학회인 미국신경과학회(SFN) 샌디에이고 전시부스에도 참가한다. 내년에는 미국 법인 설립에도 나선다. 

액트노바는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기계공학부 석박사, 생명과학과 연구 교수를 지낸 김대건 대표를 주축으로 김대수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동물실험장비회사 ‘쓰리샤인’ 박천귀 대표가 설립했다. 카이스트 출신 연구원 다수가 연구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신경과학분야 저널인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인공지능 학회인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컨퍼런스(CVPR) 등에 연구 실적을 출판 중이다. 

김대건 액트노바 대표는 “관찰과 평가가 어려운 임상·비임상 행동 실험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을 통해 신약·치료제 개발 프로세스를 단축하고자 한다”며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 행동 실험 연구원과 의료진, 실험 대상의 스트레스와 희생을 줄이고 다양한 뇌 질환 치료제 개발에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산하 카카오벤처스 심사역은 “액트노바가 보유하고 있는 행동 실험과 관련된 데이터 및 기술력,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존의 동물 실험 방법론을 혁신하는 기업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2 [김진우 교수님] 세계 최초 손상된 시력 회복 망막 치료제 개발 성공​ 생명과학과 2025.03.31 1051
44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1126
44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1244
439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1250
438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325
437 [정인경 교수님] 제17회 아산의학상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4.03.22 1347
436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384
435 [임대식 교수님] 지방세포 이용해 체중 감소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7.01 1393
434 [허원도 교수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4년도 정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3.12.04 1461
433 [김상규 교수님] 누구나 천연물 합성 경로 예측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8.14 1540
432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551
431 [강석조 교수님] DNA 인식 선천면역인자의 방호패치 발견​ 생명과학과 2023.12.05 1572
430 [전상용 교수님] 장기 별 직접 약물 전달이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578
429 [양한슬 교수님] 해양 속 82%까지 생분해되는 종이 포장재 개발 생명과학과 2024.05.20 1581
428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591
427 [유슬기(양한슬 교수님 연구실)]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KAIST 유슬기 씨 당선 생명과학과 2024.02.27 1599
426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1605
425 [이승재 교수님]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생명과학과 2024.07.19 1618
424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626
423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63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