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5040010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5040010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한국인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의 연구 성과를 잇달아 내놓으면서 ‘과학 코리아’의 위상을 높였다. 파킨슨병의 발생 메커니즘 규명, 자폐증의 원인 유전자 발견, 전기가 잘 통하는 플라스틱 개발 등 3건의 연구 성과가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와 ‘뉴런’ 4일자에 동시에 발표됐다. 난치병 치료제 및 차세대 전자통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파리 대상 유전자 실험 파킨슨병 매커니즘 밝혀
KAIST 정종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정종경(鄭鍾卿·43·사진) 교수팀은 3일 “‘파킨(Parkin)’과 ‘핑크1(PINK1)’이라는 유전자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세포 내 에너지 생산 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뇌질환인 파킨슨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부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 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파킨이나 핑크1 유전자를 제거해 파킨슨병에 걸리게 한 초파리(왼쪽)와 정상 초파리의 가슴 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모습. 파킨슨병에 걸린 초파리는 근육세포가 손상돼 겉모양이 울퉁불퉁하게 변형됐다. 사진 제공 KAIST

연구팀은 파킨과 핑크1 유전자의 구조가 사람과 50% 이상 동일한 초파리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서는 파킨을, 다른 그룹에서는 핑크1을 제거했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뇌신경세포와 근육세포의 미토콘드리아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거나 아예 망가졌다. 미토콘드리아가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게 되면서 초파리는 더는 걷거나 날지 못했다.


정 교수는 “핑크1을 제거한 초파리에서 파킨의 양을 늘리자 정상으로 돌아왔다”며 “파킨이 어떤 경로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조절하는지 알아내면 파킨슨병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소형 동아사이언스 기자 sohyung@donga.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전상용 교수님_Researchers review future directions of nanomedicine development 생명과학과 2020.12.28 1812
86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392
85 전상용,이대엽 임성갑 교수, 암 줄기세포 제작 원천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8.11.30 7375
84 전상용교수님_항암제 표적 단백질을 약물 전달체로 쓴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8.26 3689
83 정원석 교수_ 삼성전자,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 맞아 연구원 노력 담은 영상 공개 생명과학과 2020.09.21 3287
82 정원석 교수님_Astrocytes eat connections to maintain plasticity in adult brains 생명과학과 2020.12.28 2780
81 정원석 교수님_KAIST,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인한 뇌 질환 기제 규명 생명과학과 2021.06.03 2074
80 정원석 교수님_국내 연구진, 우리 뇌가 계속 일할 수 있는 이유 밝혀 생명과학과 2021.02.26 2437
79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생명과학과 2016.06.07 15105
78 정인경 교수, 인체 조직읜 3차원 게놈지도 해독 file 생명과학과 2019.09.25 5294
77 정인경 교수님_KAIST, 전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암 게놈 지도 구축 생명과학과 2020.12.29 2021
76 정인경 교수님_유전자 온-오프 스위치 비밀 밝히는 정인경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07.26 1891
75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2988
74 정현정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우십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4 6442
73 정현정 교수님_도파민의 성질로 박테리아 생장의 실시간 탐지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12.09 2097
72 정현정교수_ 커피링 효과로 감염병 신속진단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09.17 2967
71 정형록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Development Cell 게재(2016.02) / Hyung-Lok Chung,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Dev. Cell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11 12703
70 제1회 젊은 파스퇴르상 카이스트 석권! 과사무실 2010.03.02 12517
69 제5회 연구노트 경진대회(Lab Note Contest) 시상식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5153
68 조병관 교수, 세계경제포럼 Young Scientist 에 선정! 과사무실 2012.09.17 14759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