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재발성 또는 불응성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인 소아청소년 환자 약 5명 모집 예정

서울대병원(원장 김연수)이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이하 CAR-T) 치료제의 임상 1상 시험에 본격 돌입했다. 

4일 서울대병원 등에 따르면 서울대병원이 ‘소아청소년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병원생산 CAR-T 치료제 임상 1상 시험’과 관련한 환자 모집을 일부 완료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서울대병원 연구진은 만 25세 이하 재발성 또는 불응성 B세포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 약 5명을 모집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CAR-T 치료제를 단회 투여하고 12개월 간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이 연구 책임자는 강형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다. 국내 병원이 자체적으로 CAR-T 치료제를 생산해 임상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최초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란 혈액과 골수 내 림프구 계통 세포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이다. 3~5세의 소아나,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많이 발생한다. 소아의 경우 현재의 표준 치료법으로 70~80%에서 완치될 수 있지만, 성인의 경우 30~40%의 환자만이 장기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일부 환자에서는 항암 화학 요법이나 조혈모 세포 이식 등이 통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이처럼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 후 재발하거나 2번의 표준 항암 화학 요법에도 불구하고 일명 ‘완치’라고 표현하는 ‘완전 관해’에 도달하지 못한 환자 등이 포함된다. 통상적인 치료법이 통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수요가 높은 환자들이 대상인 셈이다.

이번 시험에서 치료제는 무상으로 제공된다. CAR-T와 같은 새로운 치료제가 시급했던 환자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CAR-T 치료제는 국내에서 허가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가격이 비싸 접근성이 좋지 않았다.

CAR-T 치료제가 처음 도입됐을 때, 이 치료제는 일명 ‘꿈의 항암제’로 불리기도 했다. 예후가 좋지 않은 말기 혈액암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시험 결과 나타났기 때문이다. 환자 몸속에서 면역 관련 세포인 T세포를 추출, 조작해 환자 몸에 다시 주입하는 다소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CAR-T 세포 치료과정 모식도. <자료=서울대병원>

다국적제약사 노바티스가 개발한 CAR-T 치료제 ‘킴리아’는 CAR-T 치료제로는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2017년 허가를 받았다. 한국에선 이보다 약 4년이 지난 2021년 3월 허가를 획득했다. 치료제 값은 5억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이 약은 급여 적용이 되지 않으나, 급여 적용과 관련해 꾸준히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임상에 돌입한 CAR-T 치료제는 김찬혁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큐로셀에 기술이전한 'CRC01'다. 김 교수는 큐로셀의 공동 창업자이기도 하다. 이 치료제는 삼성서울병원에서 재발성, 불응성인 미만성 거대 B세포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상 시험을 했으며, 지난해 4월 첫 환자에게 치료제가 투여됐다.

서울대병원은 향후 국내 연구자들이 개발한 CAR-T들이 환자들에게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병원 자산을 활용해 ‘GMP생산-전임상시험-임상시험’까지 한꺼번에 진행할 수 있는 ‘CAR-T 개발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별개로 현재 개발하고 있는 치료제를 기업에 기술이전할 가능성도 있다. 후기 임상까지 끌고 가기엔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서울대병원 측은 “현재 임상시험 중”이라면서 “(기술이전 계획에 대해서는) 답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윤선 기자 / yskk@ceoscore.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027
80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106
79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1648
78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050
77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1184
76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945
75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941
74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925
73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885
7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390
71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3052
70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974
69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1454
68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1353
67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926
66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942
65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1404
64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264
63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315
62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3327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