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공포증 치료 가능해진다... '공포기억 소거' 조절 효소 발견


김세윤.jpg




국내 연구진이 미국 대학 연구진과 공동으로 과거에 겪은 공포를 잊을 수 있도록 뇌를 조절하는 효소를 발견했다. 


공포증이나 트라우마 같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김세윤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뉴욕대·컬럼비아대 의대 연구팀과 함께 


'공포기억 소거' 현상 조절 과정을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정신건강과 생활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공포 기억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거나 없앨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한 성과다. 




연구팀은 뇌 흥분성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이노시톨 대사효소'가 공포 기억 소거 조절에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노시톨은 체내에서 일부 합성되거나 음식으로 섭취되는 포도당 유사물질이다. 'IPMK' 효소가 이노시톨 대사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 


이 단백질은 그동안 세포 내 각종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로만 여겨졌다. 뇌기능 관련 보고는 전혀 없었다.



김세윤 기사1.jpg



연구팀은 IPMK 효소가 뇌기능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쥐 실험으로 분석한 결과 IPMK 효소 제거 생쥐군은 대조군에 비해 매우 빠른 


공포 기억 소거 반응을 보였다. 공포 기억 소거 반응을 전달하는 신호전달계가 뇌 편도체에서 활성화 됐다. 


다른 영향은 없었고, 운동성 조절 능력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김세윤 교수는 “이번 연구로 미지 영역에 있던 공포 기억 소거 조절 핵심 인자를 밝혀냈다”면서 “연구 성과는 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뇌질환 이해와 치료 타깃 확립에 큰 도움이 돼 앞으로 뇌기능 제어나 뇌질환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5 마 원 박사과정생(김은준 교수 Lab), 제3회 바이오니아 차세대 연구자상 대상 수상 과사무실 2011.09.20 13921
204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3921
203 최준호 교수, <디아이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11.04.06 13924
202 BK21사업 생물사업단 2단계 종합평가 결과 '매우우수', 교과부장관 표창! 과사무실 2012.09.07 13931
201 도민재, 박재윤, 정현정 (박태관 교수 lab), 2010'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장려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20 13934
200 2단계 BK21 1차년도 연차평가결과 -생물분야 1위! 과사무실 2007.10.09 13938
199 [중앙일보] 김재섭 교수 치매 막는 신물질 4종 발견 과사무실 2005.08.08 13949
198 서연수 교수, 2009년 연구윤리 확립 유공자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표창 수상! 과사무실 2010.01.06 13956
197 임대식 교수, PNAS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04.21 13959
196 2005학년도 석림학술장학재단 장학생 - 이영석 박사과정 학생 선정 과사무실 2005.12.29 13979
195 임대식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 임용 과사무실 2014.02.25 13979
194 박태관 교수, 2010년 '올해의 KAIST인 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28 13989
193 바이오칩 저널(학회장 김학성 교수) SCIE 공식 등재 과사무실 2008.09.29 13990
192 [교육부] BK21사업 제2회 중간평가 결과 발표 과사무실 2004.12.09 14003
191 박태관 교수, 과기정보硏 ‘지식창조대상’ 수상 과사무실 2009.12.09 14008
190 [조선일보] 김재섭 교수 고열에도 뇌손상 막는 유전자 최초 발견 과사무실 2005.01.31 14028
189 김선창 교수, 글로벌프런티어 단장에 선정! 과사무실 2011.08.03 14029
188 노운 세미나실 OPEN 기념식 과사무실 2005.05.18 14075
187 박태관 교수, 획기적인 핵산 유전자 치료제 전달시스템 개발 과사무실 2010.01.29 14097
186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4108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