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윗줄 왼쪽부터) 박건형 석박사통합과정, 박혜원 석박사통합과정, 고주희 박사과정 (아랫줄 왼쪽부터) 박경서 박사과정, 양민진 박사과정, 조준휘 석사과정, 생명과학과 변유경 석박사통합과정

< (윗줄 왼쪽부터) 박건형 석박사통합과정, 박혜원 석박사통합과정, 고주희 박사과정 (아랫줄 왼쪽부터) 박경서 박사과정, 양민진 박사과정, 조준휘 석사과정, 생명과학과 변유경 석박사통합과정 >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우리 대학 화학과 박건형, 박혜원 석박사통합과정(지도교수 : 화학과 윤동기 교수)이 금상을, 기계공학과 고주희 박사과정(지도교수, 기계공학과 이정철 교수), 박경서, 양민진 박사과정 및 조준휘 석사과정(지도교수 :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 생명과학과 변유경 석박사통합과정(지도교수 : 정원석)이 은상을 수상했다.

 
 

삼성휴먼테크논문대상은 과학기술 분야의 주역이 될 젊고 우수한 과학자를 발굴하기 위해 1994년부터 시행 중이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앙일보가 후원하고 있다이번 제28회 대회에는 114개의 대학이 참여했으며에너지 및 환경회로설계신호처리네트워크기계공학재료과학기초과학생명과학 등 10개 분야 총 2,105편의 논문이 접수됐다.

 

박건형박혜원 학생은 유기분자의 자가조립 시 발생하는 자발적 대칭파괴를 이용하여 복제 불가 기술을 새로이 제안한 점을 인정받았다이번 연구에서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액정영상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의 핵심 재료로 사용되는 일반형 액정분자가 아닌 굽은 모양 액정 물질을 이용해 3차원 나선형 구조체를 제작했다이 분자는 분자구조 내에 카이랄 중심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오른손성과 왼손성 나선형 구조체가 같은 확률로 생성된다하지만 형성되는 위치와 같은 방향의 구조체가 형성하는 도메인의 모양 및 크기는 매우 무작위로 형성된다연구팀은 이러한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무작위한 패턴을 이미지처리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인식하는 개발하여 이를 지문과 같이 응용하여 복제 불가능한 보안 코드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림 1. 박건형, 박혜원 학생이 제안하는 굽은 액정분자의 자가조립 시 발생하는 무작위성을 이용한 보안코드 개발방법 모식도

< 그림 1. 박건형, 박혜원 학생이 제안하는 굽은 액정분자의 자가조립 시 발생하는 무작위성을 이용한 보안코드 개발방법 모식도 >

 

 

고주희 학생은 마이크로히터와 마이크로유동채널이 내장된 미세 전기 기계 시스템 (MEMS) 소자를 이용해 극미량의 유체에 대한 열전달 관련 측정과 공정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 플랫폼 (가열 전극 통합 마이크로채널 공진기, heater integrated microchannel resonator, 이하 HMR) 을 제시하였으며, HMR의 제작특성화 과정과 함께 세 가지의 연구 응용안을 구현함으로써 새롭게 선보인 실험 플랫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고주희 학생이 제안하는 새로운 실험 플랫폼을 이용한 여러가지 열전달 응용 방안 모식도

< 그림 2. 고주희 학생이 제안하는 새로운 실험 플랫폼을 이용한 여러가지 열전달 응용 방안 모식도 >

 

 

박경서, 양민진, 조준휘 학생은 전기임피던스 단층촬영법(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및 수동음향 단층촬영법(Passive Acoustic Tomography)을 활용해 유연소재 기반 생체모사 다층구조내에서 멀티모달 촉각 자극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추론적 촉각 즉정 알고리즘을 제시했다이 기술은 사람 피부의 기계수용기의 특징과 구성 방식을 모사하여적은 수의 트랜스듀서로도 넓은 측정 영역을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그림 3. 박경서, 양민진, 조준휘 학생이 제안하는 단층촬영법 기반의 생체모사 대면적 로봇 피부의 동작 원리 및 결과 예시

< 그림 3. 박경서, 양민진, 조준휘 학생이 제안하는 단층촬영법 기반의 생체모사 대면적 로봇 피부의 동작 원리 및 결과 예시 >

 

변유경 학생은 아동기의 스트레스에 의한 뇌신경질환 발병 원인이 별아교세포임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별아교세포의 잘못된 시냅스 제거의 분자 기전을 밝히고, 이 현상이 원인이 되어 성인기에 우울증, 조현병과 같은 다양한 뇌신경질환이 일어날 수 있음을 생쥐 모델과 인간줄기세포유래 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하여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별아교세포의 시냅스 제거 현상을 조절하는 것이 비정상적인 시냅스 수의 변화에 의해 일어나는 우울증, 조현병 등과 같은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림 4. 생명과학과 변유경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의 연구 모식도

< 그림 4. 생명과학과 변유경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의 연구 모식도 >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1899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840
79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957
78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1439
77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896
»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993
75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746
74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782
73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730
72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714
71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209
70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2855
69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808
68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1260
67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1176
66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747
65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760
64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1213
63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058
62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116
61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3171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