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국내 연구팀이 우리 몸이 시간을 기억하는 데 필수적인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 성과로 수면 장애나 생체리듬 장애로 인한 각종 생리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재섭(42)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는 19일 “동물실험을 통해 생체시계에 작용하는 여러 유전자들에 신호를 전달해주는 특정 유전자를 찾아냈다”며 “한국이라는 뜻으로 ‘한’(Ha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논문은 신경학계의 세계적 권위지인 <뉴런> 20일치에 실렸다.

우리 몸은 하루 24시간의 시각 주기를 기억해 아침·저녁 또는 낮·밤을 가릴 수 있다. 외국여행 때 시차 적응을 못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대뇌 아래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들이 이런 ‘생체시계’ 구실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이들 세포에 동시에 시간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는 밝혀내지 못해왔다.

김 교수팀은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해 생체시계에 관계되는 신경세포들이 모두 ‘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 마스터 생체시계 세포가 만들어내는 ‘피디에프’(PDF)라는 단백질이 ‘전령사’ 구실을 하고, 각 신경세포들은 ‘한’ 유전자가 만든 단백질을 수용체로 삼아 이 전령사가 전달하는 신호를 받아들여 마스터 세포의 ‘시계’에 시각을 맞추는 메커니즘도 규명했다.

연구팀은 또 색소 단백질로만 알려져 있던 ‘피디에프’는 아침에는 많이 분비되다 저녁때는 거의 분비가 되지 않음으로써 우리 몸이 시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기능도 지녔다는 것도 밝혀냈다.

이근영 기자 kylee@hani.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6 [전상용 교수님]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이제 MRI로 진단하세요 생명과학과 2024.04.02 982
335 [전상용 교수님] 장기 별 직접 약물 전달이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4.05.03 1249
334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327
333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1613
332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1765
331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생명과학과 2024.12.24 663
330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436
329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2103
328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939
327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417
326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427
325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330
324 [정인경 교수님] 제17회 아산의학상 젊은의학자 부문 수상 생명과학과 2024.03.22 1119
323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785
322 [정현정 교수님]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4.04.08 1824
321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4.12.18 617
320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820
319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2137
318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287
317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15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