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김대수 KAIST 교수는 “나의 뇌를 알고 내가 원하는 대로 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녀교육에서도 뇌훈련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상선 기자

김대수 KAIST 교수는 “나의 뇌를 알고 내가 원하는 대로 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녀교육에서도 뇌훈련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상선 기자

뇌과학자인 김대수(52)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초등학생 시절 공부 못하는 아이였다. 행동 원인을 유전자 관점에서 연구하는 행동유전학의 권위자인 지금의 그를 보면 상상하기 어려운 이야기다.

달라진 비결이 뭘까. 김 교수는 “지금의 모습이 될 때까지 기다려준 사람들이 있어서”라고 요약했다. 문제아로 낙인찍지 않고 실수를 용서해 주고 스스로 고칠 수 있도록 기다려준 부모님과 이웃들이 있어서란 뜻이다.

“뇌에 문제가 있었는지 제 물건을 건드리면 순간적으로 친구를 치고 그랬어요. 한 번은 친구 어머니가 집으로 불러 음식을 대접해 주면서 ‘대수야, 우리 아이가 너한테 맞은 이후로 이불에 코피를 쏟는 일이 많구나. 내가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게 가슴에 와 닿았어요.” 그는 그 후 누군가를 때리지 않았다. 노트 필기를 안 하던 그를 위해 반 친구네 집에 가서 직접 필기를 해 오신 어머니를 보고도 느낀 게 많았다.

뇌과학자가 된 후 그는 어린 시절 ‘문제성 행동’에 대해 뇌과학적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완성되기 전의 뇌는 필요하지 않은 신호를 만들어내는데 그 신호에 반응하다 보면 이상한 근육 반응이나 행동이 만들어진다. 아이들이 선생님께서 숙제를 내주는 순간에 엉뚱한 대상에 집중하거나, 저명인사들이 본능적 실수를 하고 범죄에 연루되는 것도 뇌가 보낸 신호를 추종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학교폭력, 성폭력 등이 단지 뇌가 성욕, 공격욕을 만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욕구를 충족시킬 ‘때’를 잘못 선택한 결과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뇌엔 이러한 신호를 관찰하는 ‘의식’이 있는데 우리가 스스로 ‘본능의 신호’를 의식하면, 본능의 신호만을 따라 행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기다리기’와 ‘욕망의 승화’다. 마시멜로를 먹고 싶은 충동을 참는 실험에서 인내심을 발휘한 아이들이 15년 뒤 사회적, 학업적으로 성공했다는 스탠퍼드대 연구결과도 있다. 그들은 마시멜로를 쳐다보지 않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책상을 발로 차는 행동을 했다. “욕구의 채널을 다른 방향으로 돌려 다른 곳에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던 것”이라고 김 교수는 분석한다.

그는 “기다리기는 부모에게도 적용된다”고 했다. 아이의 문제 행동에 화내며 비난하기보다 아이가 직접 그 상황이 잘못됐음을 느끼도록 진지하게 부모의 감정을 짧고 굵게 이야기하거나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그는 보다 다채로운 인생을 살기 위해선 “뇌가 보낸 본능의 신호를 내가 원하는 삶의 고차원적인 목표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해야 한다”고 조언 했다. 저 서 『뇌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에 이 같은 연구결과를 담았다.

그는 게임중독 아이를 걱정하는 부모들에게 “게임이라는 욕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부모가 화내고 휴대전화를 뺏거나 게임 시간이나 장소를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큰 효과가 없다”며 “이보다는 식물이나 동물을 함께 키우거나 놀이를 함께 해주면서 거실에서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즐겁다는 식으로 뇌 기억 자체를 바꿔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꿈이 없고 공부에 의욕이 없어 보이는 아이와 관련해서는 “공부에 의욕이 없는 것이 아니라 게임과 달리 공부의 경우 해야 하는 목표를 발견하지 못했을 뿐”이라며 “무작정 책상 앞에 앉히기보다 롤모델을 제시하는 등 목표를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6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777
375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1778
374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1780
373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781
372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785
371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787
370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799
36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820
368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821
367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826
366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832
365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835
364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1842
363 [정현정 교수님] 암세포만 골라 유전자 교정 치료하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4.04.08 1846
362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849
361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855
36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858
359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877
358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879
357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88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