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380943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380943노인성 망막퇴행질환 핵심 단백질 찾았다
- KAIST 김진우 교수 `치료제 개발 표적으로 활용 전망`


고령화 진행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노인성 망막퇴행성질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국내 과학자를 중심으로 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밝혀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는 16일 미국, 캐나다 연구진과 함께 생쥐 실험을 통해 종양억제유전자로 알려진 'PTEN 단백질'의 불활성화가 노인성 황반퇴행질환 발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전자와 발생(Genes & Development)에 15일자로 게재됐다.

인간 등 동물의 안구 내에는 멜라닌 색소를 다량 함유한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이 있고 이 세포들은 강한 세포 간 접합체로 연결돼 혈관과 망막 사이의 장벽을 만들어 준다.

하지만 이 장벽은 장기간 흡연이나 망막이 강한 빛에 오랜 시간 노출되는 등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점차 파괴되며 이때 생기는 틈으로 망막 외부 모세혈관에 있던 백혈구가 망막으로 침투, 염증반응을 일으켜 시력을 잃을 수도 있는 노인성 황반퇴행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연구진은 종양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PTEN 단백질이 안구 내 망막색소상피세포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켜 망막조직의 형태와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생쥐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연구진이 생쥐의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PTEN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제거하자 이들 생쥐에서는 노인성 황반퇴행현상이 관찰됐다.

연구진은 노인성 황반퇴행질환 생쥐의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PTEN 단백질이 인산화에 의한 불활성화되면서 세포 간 접합체에서 이탈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는 PTEN 단백질이 망막색소상피세포의 구조를 유지시켜 망막퇴행을 억제하는 핵심 단백질이라는 것을 뜻한다.

김 교수는 "그동안 황반퇴행질환 치료제 개발이 진척되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질환의 시작인 망막색소상피세포의 퇴행을 분자적 수준에서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 연구에서 밝혀진 PTEN과 그 하부 신호전달체계는 앞으로 노인성 황반퇴행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표적을 정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362
367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369
366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377
365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387
364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393
363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408
362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414
361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427
360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431
359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442
358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444
357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1447
356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481
355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490
354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495
353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1516
352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518
351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529
350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1557
349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156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