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
[동아일보] 김은준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
과사무실 | 2004.12.27 | 11845 |
63 |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
과사무실 | 2005.03.31 | 10836 |
62 |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
과사무실 | 2004.02.06 | 13442 |
61 |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
과사무실 | 2004.08.30 | 12893 |
60 |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
과사무실 | 2007.09.04 | 13580 |
59 |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
과사무실 | 2006.06.12 | 14100 |
58 |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
생명과학과 | 2021.11.24 | 405 |
57 |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
생명과학과 | 2023.03.15 | 48 |
56 |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
생명과학과 | 2022.08.22 | 396 |
55 |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
생명과학과 | 2021.11.24 | 437 |
54 |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
생명과학과 | 2022.02.04 | 443 |
53 |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
생명과학과 | 2023.02.28 | 97 |
52 |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
생명과학과 | 2023.03.02 | 149 |
51 |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
생명과학과 | 2022.09.27 | 185 |
50 |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
생명과학과 | 2022.07.19 | 280 |
49 |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
생명과학과 | 2022.08.12 | 367 |
48 |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
생명과학과 | 2022.06.02 | 589 |
47 |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
생명과학과 | 2022.10.07 | 318 |
46 |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
생명과학과 | 2021.11.24 | 399 |
45 |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
생명과학과 | 2022.02.15 | 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