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허원도 교수 및 유다슬이 석박통합과정.jpg
<허원도 교수, 유다슬이 석박통합과정


빛으로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우리 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은 항체를 빛으로 활성화시켜 특정 단백질을 억제하도록 만드는 광유전학 광유전학(Optogenetics) 기술을 개발하였다.

 

감염이나 질병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방어 체계를 면역이라고 한다. 항체는 Y자 형태의 단백질로, 면역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 중 하나다. 각설탕보다 가루설탕이 물에 더 잘 녹는 것처럼, 긴 항체보다 짧은 항체 조각이 세포 내에서 더 잘 녹는다. 이런 특징 때문에 항체 조각들은 오래전부터 생물학적 도구나 의약품 재료로 사용되어왔다.

 

연구진은 빛을 이용해 항체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옵토바디(Optobody, Optogenetically activated intracellular antibody) 기술을 개발하였다. 녹색형광단백질(GFP)을 인지하는 가장 작은 항체 조각인 ‘GFP 나노바디에 청색광을 쬐어주면 재결합되어 활성화됨을 관찰하고, 활성화된 항체 조각이 세포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옵토바디 기술을 GFP 나노바디 이외에도 기존에 널리 사용 중인 항체 조각들에 다양하게 적용하였다.

 

Optobody 모식도.jpg

항체 조각과 Optobody 모식도

 

 

또한 연구진은 화학물질을 이용해 항체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케모바디(Chemobody, Chemically activated intracellular antibody) 기술을 추가로 개발하였다. 둘로 쪼개져 있던 항체 조각을 라파마이신(Rapamysin) 으로 재결합시켜 활성화됨을 확인하고, 활성화된 항체 조각이 세포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번 연구는 항체광유전학 기술을 개발하여, 항체 조각이 쪼개지면 비활성화되고 재결합하면 활성화된다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각각의 단백질은 자신만의 기능을 갖는다. 활성화된 항체가 특정 단백질을 억제했을 때 감소되는 기능을 추적하면, 해당 단백질의 기능을 알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 항체를 단백질의 실시간 활성 및 이동을 관찰하는 바이오센서로도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항체 활성을 조절하는 방법은 화학물질을 이용해 항체의 발현을 유도하는 방법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항체 활성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려웠다. 이번 연구로 빛을 이용하여 항체 활성을 빠른 시간 내에 시공간적으로 세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향후 이 기술은 항체광유전학 분야 및 항체의약품에 크게 응용될 것으로 보인다.

 

보도자료 첨부이미지2_허원도교수님_Nat Methods_1.png



 

허원도 교수는 이번 연구로 개발한 항체광유전학기술은 빛으로 세포 내 단백질의 기능을 제어하는 연구에 적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앞으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항체개발과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에 많이 활용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메소드(Nature Methods, IF 28.467)10150(한국시간)에 게재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 임대식 교수, 한국과학상 대통령상 수상(2016. 12. 27) file 생명과학과 2016.12.28 13186
131 故 박태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과사무실 2011.04.11 13194
130 김은준 서연수 교수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4.02.13 13211
129 송세라, 박영균 학생 김보정 기초과학장학생으로 선발 과사무실 2006.09.12 13221
128 김근화 박사, 김승균 박사, 박상욱 박사, 2012년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선정 과사무실 2013.01.02 13294
127 김세원 박사과정(강창원 교수 lab), Santorini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6.17 13311
126 생명과학과 권창섭 연구교수... Trends in Genetics지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07.08.20 13312
125 최은비 박사과정 학생(김미영 교수 실험실) Oncogene 게재(2016.02) / Eun-Bee Choi, a Ph.D candidate in Prof. Mi-Young Kim’s lab published a paper in Oncogene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07 13322
124 김학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 (2014. 4) 과사무실 2014.04.24 13345
123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3347
122 김선창 교수 6월의 과학기술자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3352
121 변시명 교수 기초과학 교과목 우수강의상 수상 1 과사무실 2004.03.17 13354
120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3357
119 허원도 교수, Mai Khanh Nguyen 박사과정 학생 Nature Chemical Biology 논문 게재(2016.04) / Prof. Won Do Heo and Mai Khanh Nguyen Ph.D. published a paper in a Nature Chemical Biology(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2 13362
118 최광욱 교수, 2014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 선정 / Prof. Kwang-Wook Choi was selected as Top 5 news of 2014 in domestic bio research field 과사무실 2015.01.15 13382
117 고규영 교수님 Circulation Research 논문 COVER게재 과사무실 2007.03.21 13386
116 이준식 교수 IAFOST Fellow 선출 과사무실 2003.09.08 13394
115 최길주 교수, 정진길 박사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 (2014. 8) 과사무실 2014.09.11 13449
114 이규리 학생(박태관 교수님 Lab), ICMAT 2009 & IUMRS-ICA 2009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09.07.13 13456
113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3460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