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한인과학자, 줄기세포 치료 첫 성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31a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0pixel, 세로 560pixel

김광수 교수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에 이식하는 수술을 하는 모습 [사진 KAIST]

 
한국인 과학자가 미국에서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기술을 이용해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줄기세포를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KAIST김광수 미 하버드 의대 교수가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임상 치료에 성공했다2일 밝혔다. 김 교수는 KAIST 생명과학과에서 석ㆍ박사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연구를 계속했다. 신경과학과 줄기세포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으로 꼽힌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524pixel

맞춤형 줄기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 모식도[사진 KAIST]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뇌 질환 환자에 이식해 임상 치료 효과까지 낸건 이번이 처음이다. 유도만능줄기세포는 신경세포ㆍ혈액세포ㆍ근골격 세포 등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로 분화가 가능해 만능 줄기세포로 여겨진다. 김 교수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 2017부터 2년 동안 두 차례에 걸쳐 69세 파킨슨병 환자에게 줄기세포를 이식했다. 환자의 피부세포를 변형해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을 생성케 한 후 이를 환자의 뇌 깊숙이 주입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2년 동안 PET, MRI 영상 등으로 경과를 지켜본 후 지난 5월 이와 관련한 논문을 발표했다. 환자는 면역 체계 거부 반응을 보이지 않았고, 스스로 구두끈을 다시 묶을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됐다. 수영과 자전거를 탈 정도로의 운동 능력까지 회복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197pixel

피부 세포(맨 왼쪽) 유도만능줄기세포(가운데), 도파민 뉴런(맨 오른쪽) [사진 KAIST]

 
수술을 받은 환자는 조지 로페즈(George Lopez) 씨로맞춤형 줄기세포의 신속한 연구와 파킨슨병 정복을 위해 애써 달라며 김 교수 연구팀을 꾸준히 지원했다고 한다.
 
이러한 수술과 임상 성공은 하루 아침에 이뤄진 성과는 아니다. 파킨슨병의 맞춤형 줄기세포 치료는 일단 환자의 체세포를 안정적으로 줄기세포로 전환한 뒤, 이를 다시 도파민 세포로 분화시킨 후 뇌에 이식해야 하는 까다로움이 뒤따른다. 20년간 관련 기술을 연구한 김 교수는 10여 년 전 이미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세포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작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적용해 성과를 입증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4660000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0pixel, 세로 373pixel

김광수 하버드 의대 교수 [사진 KAIST]


김 교수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할 수 있도록 FDA에 승인을 신청했다”10여 년 정도 후속 연구를 계속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맞춤형 세포치료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한 또 하나의 보편적인 치료 방법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성과는 의학 분야에서 권위있는 저널로 꼽히는 뉴잉글랜드의학저널(NEJM)에 지난 5월 게재됐다.

[출처: 중앙일보] 자전거 탄 파킨슨 환자한인과학자, 줄기세포 치료 첫 성공

 https://news.joins.com/article/2379147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2 [중앙일보] 김재섭 교수 치매 막는 신물질 4종 발견 과사무실 2005.08.08 12040
121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538
120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3961
119 [조선일보] 김재섭 교수 고열에도 뇌손상 막는 유전자 최초 발견 과사무실 2005.01.31 12019
118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1969
117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586
116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884
115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2715
114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430
113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262
112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542
111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587
110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360
109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37
108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297
107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308
106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557
105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534
104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209
103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334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