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건국대·KAIST 연구팀 "정신질환·치매 등 치료에 기여"



김세윤 교수님_이노시톨 파이로인산에 의한 신경전달물질 분비 조절 모식도.jpg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에 의한 신경전달물질 분비 조절 모식도 




국내 연구진이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하는 뇌 속 생체물질을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은 건국대 정지혜 교수·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세윤 교수 연구팀이 뇌에서 합성되는 화학물질인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의 신경 활성 조절 기능을 규명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은 과일이나 곡물 등을 통해 섭취한 이노시톨이 체내에서 인산화되면서 생겨나는 물질이다. 이노시톨은 반드시 음식으로만 섭취할 수 있는 영양소이다.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이 비만·당뇨·면역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지만 뇌에서의 기능은 밝혀진 게 없다.


연구팀은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을 체내에서 합성하는 효소가 제거된 생쥐 모델 실험을 통해 신경전달물질이 비정상적으로 가속화한 것을 확인했다.  뇌 속 신경세포는 시냅스라는 부위에서 신경전달물질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노시톨 파이로인산이 결여된 생쥐 모델에서는 신경전달물질을 담는 주머니인 시냅스 소포체가 세포 밖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저해하는 대표적인 물질인 '보톡스'(보툴리눔 톡신)처럼 체내에서 신경 활성을 억제하는 화학물질을 찾아낸 것이다.

시냅스 소포체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억장애·조현병 등 정신 질환,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박승주 박사, 건국대학교 박호용 박사, 카이스트 생명과학 박사과정 김민규 학생이 1저자로 참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아이사이언스'(iScience) 지난 23일 자에 실렸다.


대전 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https://www.yna.co.kr/view/AKR20200324162900063?section=new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9 임대식 교수, 한국과학상 대통령상 수상(2016. 12. 27) file 생명과학과 2016.12.28 13091
248 강창원 교수, 2016년 제2회 바이오유공자 장관표창 수상 생명과학과 2016.11.10 11995
247 임대식 교수, 2016년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 학술상 생명과학상 소개 강연 생명과학과 2016.10.10 13563
246 최광욱 교수, 홍성태 박사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9) / Prof. Kwang-Wook Choi and Dr. Sung-Tae Hong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생명과학과 2016.10.06 14411
245 전상용 교수, 2009~2014 기초학문 약학분야 9위 선정 생명과학과 2016.10.04 15802
244 김정회 교수, 한국생명공학연합회 초대 회장에 선출 / Professor Jung-Hoe Kim elected to the first president of Korea association of Bioenginiering file 생명과학과 2016.08.26 17593
243 허원도 교수, Trang T. T. Nguyen박사 PNAS지에 논문 게재(2016.08) / Prof. Won Do Heo, PhD. Trang T. T. Nguyen publish an article in PNAS (2016.08) 생명과학과 2016.08.25 13622
242 최길주 교수, 김정현 박사과정 학생 The Plant Cell 게재(2016.06) / Prof. Giltsu Choi and Junghyun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The Plant Cell (2016.06) 생명과학과 2016.07.05 13531
241 이주용 박사, 김세윤 교수, PNAS지에 논문 게재 / PhD Joo-Yong Lee and Prof, Seyun Kim published a paper in PNAS 생명과학과 2016.07.04 16220
240 전상용 교수, 몸 속 물질 이용한 염증 치료제 개발 / Prof. Sang-Yong Jon developed anti-inflammatory drug using biological materials 생명과학과 2016.06.15 19780
239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생명과학과 2016.06.07 14051
238 허원도 교수, 김진만 박사, 이민지 박사과정 학생 PNAS지에 논문 게재(2016.05) / Prof. Won-Do Heo, PhD. Jin-Man Kim and Min-Ji lee publish an article in PNA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8 12319
237 김재현 박사과정 학생, 이승희 교수 J.Neurosci. 게재 (2016.05) / Jae-Hyun Kim and Prof. Seung-Hee Lee published article at J. Neurosci.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8 17649
236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0317
235 고창민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Oncogene 게재(2016.04) / Chang Min Ko,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Oncogene (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5 10806
234 허원도 교수, Mai Khanh Nguyen 박사과정 학생 Nature Chemical Biology 논문 게재(2016.04) / Prof. Won Do Heo and Mai Khanh Nguyen Ph.D. published a paper in a Nature Chemical Biology(2016.04) 생명과학과 2016.04.12 13255
233 최길주 교수, KAIST 지정 석좌교수 임명 / Prof. Giltsu Choi is appointed KAIST-chair professor. 생명과학과 2016.03.16 16914
232 오병하 교수, 제 9회 아산의학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6.03.14 18057
231 정형록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Development Cell 게재(2016.02) / Hyung-Lok Chung,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Dev. Cell (2016.02) 생명과학과 2016.03.11 11971
230 2015년 KAIST 대표 R&D 연구성과 10선 선정 / Announcement of KAIST's Top 10 Research Accomplishments of 2015 생명과학과 2016.03.07 10839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