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김성수
논문 Sungsoo Kim*, Taeyoon Kyung*, Jae-Hee Chung, Nury Kim, Sehoon Keum, Jinsu Lee, Hyerim Park, Ho Min Kim, Sangkyu Lee, Hee-Sup Shin & Won Do Heo. Non-invasive optical control of endogenous Ca2+ channels in awake mice(2020). Nature Communications volume 11, Article number: 210 (2020). 10 January 2020
한줄요약 머리에 빛 비춰 공간기억 및 공감능력 높이는 광유전학 기술개발

그림1. monSTIM1의 활성화 개념 그림설명(), 빛 세기에 대한 세포 내 칼슘 활성도()


그림2. 비침습적 광조사를 받고 있는 쥐 (), 빛 자극에 따른 칼슘 신호 마커, c-Fos발현 ()

<빛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monSTIM1의 활성화를 통한 비침습적 뇌세포 칼슘 기능 활성화>


 1. 배경지식

신경 생물학 연구에서 채널로돕신이라는 기술을 통해 그동안 밝히기 어려웠던 많은 신경 생물학적 질문들을 해결해 왔습니다. 그동안 세포 내부의 칼슘이라는 이온이 다양한 신호를 활성화 시키는데 중요하다고 알려져 왔지만, 기술적인 제한으로 인해 실시간적으로 많은 연구가 부족하였습니다. 광유전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저희 연구실에서 옵토스팀원 (OptoSTIM1)이라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 기술을 채널로돕신과 같이 더 많이 사용하게 하고자 더 기술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습니다. 특히나 인비보 모델에 적용하기 앞서 세포 내부에 과도하게 발현된 옵토스팀원은 기저 칼슘 레벨을 높여 생리적인 상황을 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신경 세포 내 칼슘을 연구하기 위해 부족한 빛의 민감도로 인해 항상 광섬유를 삽입하여 빛 자극을 가해 주었어야 했습니다. 이는 수술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외부 물질인 광섬유로 인해 조직 손상, 면역 반응 유발, 세포 모양 변화와 같은 한계점을 가지게 됩니다.

 

2. 질문

1) 옵토스팀원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 단백질 CRY2의 변형을 통해 과발현에 의한 기저 칼슘을 낮출 수 있는가

2) CRY2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빛의 만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3) 빛의 민감도가 증가하였을 때 비침습적으로 생체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가

 

3. 발견

본 연구에서 향상시킨 광유도 칼슘 조절 기술은 빛에 의해 다형체를 형성하는 식물 단백질 Cryptochrome2 (CRY2)의 구조적인 접근법을 통해 빛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형성할 수 있는 이형체를 저해하는 유전자 변형을 유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미 구조적으로 알려져 있는 초파리의 CRY단백질이 이형체를 형성하며 또한 동형단백질인 CRY1단백질 또한 이형체를 이루는 것에 기초 하여 이형체를 형성할 수 있는 루프 구조의 아미노산을 치한하여 효과적으로 기저 칼슘 레벨을 낮출 수 있었습니다. 또한 빛에 의한 다형체 형성을 더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기술인 CRY2clust (C말단의 추가적 9개 아미노산)을 함께 접목하였을 때, 빛의 민감도가 약 55배 가량 증가하였습니다. 아주 작은 빛인 1μW mm-2의 빛 세기에서도 효과적으로 세포 내 칼슘을 유입하는 이 시스템을 몬스팀원 (monster OptoSTIM1)이라 명명하였습니다. 몬스팀원을 쥐 뇌세포를 구성하는 흥분성 신경세포와 아교세포를 타겟팅하여 발현 시켰을 때 LED로 나오는 청색광만으로도 칼슘 하위 신호가 활성화가 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칼슘 관련 단백질들을 저해하였을 때 나타나던 공감 공포 저하 현상을 반대로 칼슘을 올려 주었을 때 효과적으로 공감 공포를 증가시키는 결과도 도출 하였습니다.

 

4. 후속

본 연구는 생체 모델에서 칼슘 활성을 비침습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특히나 장시간에 걸쳐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더 광범위하고 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비침습적으로 세포 내에 발현을 시킬 수 있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라 기대합니다.

 

5. 소감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저희 연구실에서 처음으로 인비보 실험들을 진행했었습니다. 잘 모르는 분야에 있어서 배우고 숙련되기까지 시간이 꽤 걸렸지만 그 덕분에 기술의 장점을 아주 잘 살려 좋은 연구로 발전 시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박사 후 과정 연구는 조금 더 질병과 연관하여서 연구에 이용하는 견문을 넓히고자 합니다.

 

6. 기타

이 연구를 하며 많은 지도와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허원도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실험을 처음에 구상하고 발전하는 단계에 함께하고 학위 과정동안 많은 도움과 재미를 주신 이상규 박사님, 경태윤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처음 인비보 연구하는데 있어 실험에 많은 도움을 주신 김대수 교수님, 김정은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뜻깊은 행동 연구로 공동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신희섭 단장님, 금세훈 박사님 그리고 박정준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항상 즐거운 실험실 하도록 해준 연구실 동료들도 너무 감사합니다. 학위 과정동안 옆에서 많이 응원해주었던 예지, 그리고 곁에서 많이 물심양면으로 많은 도움을 준 다른 연구실분들에게도 감사합니다. 끝으로 오랜 학위 기간동안 믿고 응원해주신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감사 인사 전하며, 앞으로도 계속 좋은 연구로 인사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 강문영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님)

    Question • 담배꽃이 만들어내는 향기물질인 benzylacetone(BA)은 어떤 유전자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걸까? Results • ScRNAseq 을 통해 cell cluster 를 분류한 뒤, epidermal cell 에서 BA 전구체인 Phenylalanine 합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높음 확...
    Date2024.02.27 By생명과학과 Views217
    Read More
  2. 변유경, 김남식, 김규리 (신경교세포 연구실, 정원석 교수님)

    질문 별아교세포의 포식 작용을 조절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아동기 스트레스가 정신 질환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발견 영유아 시기에 스트레스 상황을 겪게 되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 동안 뇌 신경 회로망 및 기능이 크게 변화되어 조현병 및 우...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99
    Read More
  3. No Image

    박지연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호염구(basophil)는 말단 발달 과정에서 어떻게 그 고유 기능을 획득하도록 최종 발달을 완료하였을까? 발견 호염구는 알레르기와 같이 제2형 면역 반응으로 매개되는 질환의 주된 작용 세포로, IgE 수용체를 통해 활성화되면 degranulation과 사이토카...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12
    Read More
  4. 손경표 (분자세포 면역학 연구실, 강석조 교수님)

    질문 STING의 활성산소에 의한 비활성형 다량체의 응집을 조절하는 기전이 존재하는가? 발견 STING은 선천면역 경로의 필수적인 어댑터 단백질로서 세포내 이동, 번역 후 변형, 다량체 형성 등을 통해서 활성이 조절된다고 알려지었으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12
    Read More
  5. 전이선, 정다운 (감각 통합 신경 시스템 연구실, 이승희 교수님)

    Question. 청소년기의 사회적 고립이 뇌 활성과 행동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성별에 따른 효과와 뇌 영역 및 메커니즘 탐구 Findings.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에 의한 세 가지 표현형의 변화가 암컷 쥐에서만 발견 1)과민한 사회성 2)왼쪽 안와전두피질(Or...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84
    Read More
  6. 김효상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김은준 교수님)

    질문 염색질 재조합 단백질의 결손에 따른 자폐 스펙트럼 유사 행동은 어떻게 치료될 수 있을까 발견 본 연구에서는 ARID1B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생쥐 모델에서 어떻게 사회성 저하와 반복 행동을 유발하는지, 시냅스와 RNA의 분석을 통해서 밝혀내었고, 유...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5
    Read More
  7. 유도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 개발 필요 염증 조직 특이적인 당 결합 단백질 발현 양상을 활용한 표적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 발견 장내 균의 당질층은 장 표면의 당질층 혹은 당 결합 단백질과 결합함. 염증성 장 질환...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48
    Read More
  8. Afia Tasnim Rahman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염증성 장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경구용 약물 개발 필요 체내 유래 항산화 물질인 빌리루빈의 장내 흡수가 용이한 물질로의 개발 가능성 발견 활성 산소종에 대한 제거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진 빌리루빈과 점막 부착성과 생적합성을 동시...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6
    Read More
  9. 신호철, 김유진 (바이오나노의약 실험실, 전상용 교수님)

    질문 여러 종의 암의 공통적 특징을 표적하는 범용 치료용 항암 백신 개발 필요 암 연관 섬유아세포를 표적 제거하는 백신 전략의 암 치료 효용성 발견 종양미세환경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암 연관 섬유아세포는 암 성장 촉진 인자 및 세포외기질을 ...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50
    Read More
  10. 구보민 (분자종양유전학 연구실, 임대식 교수님)

    질문 췌장암 발병 시 PRMT1의 역할과 그 기전이 무엇일까? PRMT1이 새로운 췌장암 환자 치료제 타깃이 될 수 있을까? 발견 췌장암 환자 및 마우스 모델에서 PRMT1이 나쁜 예후 인자(poor prognostic factor)로 작용한다. PRMT1은 췌장암 세포에서 염색질 접근...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81
    Read More
  11. 김규광 (기능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기존의 점돌연변이나 유전체 변이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암 유전체를 3차원 게놈 구조 관점에서 재 해독할 수 있을까? <발견> 암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변이가 발생하며 암 특이적 3차원 게놈 구조 변화 또한 발생한다. 이로 인해 유전자가 잘못된 전...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32
    Read More
  12. No Image

    이정운 (후성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파킨슨 병에 기여하는 후성유전학적 특징들은 무엇일까? <발견> 단일세포 유전체 기술과 3차원 후성유전체 기술을 접목하여 뇌 환경 유지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와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후성 유전적 인자들이 ...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8
    Read More
  13. 주재건 (후성유전체 및 계산생물학 연구실, 정인경 교수님)

    질문 핵체 주위 게놈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있을까? 핵체 주위 게놈 상호작용 매개인자는 무엇일까? 발견 행렬 분해기법을 기반으로 게놈 3차 구조 데이터로부터 핵체 주위 염색체 간 상호작용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신규 기계학습 알고리즘 개발 스토카스틱...
    Date2024.02.26 By생명과학과 Views18
    Read More
  14. 문진우 (암 에피제네틱 연구실, 김미영 교수님)

    질문 악성 췌장암의 진행 및 전이를 유발하는 유전자와 그 기작은 무엇인가? 발견 기저형 (basal-like)의 아형을 보이는 췌장선암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은 보다 공격적인 특성을 보이며, 빠른 진행과 전이 양상을 보입니다. 본 연구에서...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37
    Read More
  15. 이한솔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님)

    기억 리콜 때 CA1 뉴런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학습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세포 앙상블이 있음을 확인함. 또한 이 활성 증가가 기억 리콜 때 측정한 freezing (공포 기억 리콜 인덱스) 수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33
    Read More
  16. 조혜연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님)

    살아있는 생쥐 뇌에서 기억저장 뉴런(신경 세포)을 표지하고 추적,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해 같은 경험을 다시 할 때, 원래 존재하던 오래된 기억 뉴런이 새로운 뉴런으로 교체됨을 규명.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7
    Read More
  17. 정이레 (기억생물학 연구실, 한진희 교수)

    시냅스 강도 조절 메커니즘에 의한 기억 저장 뉴런 선택. 시냅스 발생 뉴런이 더 높은 확률로 기억 엔그램에 참여하며, 학습 직후 일부 뉴런의 시냅스 강도를 조작하면 기억은 그대로지만, 그 기억을 인코딩하는 뉴런이 변경됨.
    Date2024.02.23 By생명과학과 Views29
    Read More
  18. 김은아, 함석진 (RNAging Lab,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질문 미토콘드리아 Krebs cycle 부산물이 개체 수준의 면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발견 미토콘드리아의 Krebs cycle 효소 중 하나인 ACO-2의 knockdown이 예쁜꼬마선충에서 UPRmt을 활성화 하여 개체수준에서 선천적 면역을 강화 시킴을 발견함. ACO-2의 억...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51
    Read More
  19. 황현정, 박태림, 김형인(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연구실 공동연구)

    질문 - YTHDF2가 비정상 단백질 처리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 YTHDF2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은 무엇일까? 발견 정상적인 생명 활동 유지에 중요한 단백질 형성과정은 정상적인 단백질 뿐만 아니라 비정상적인 단백질이 그 과정 중 형성되기도 한다. 비...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43
    Read More
  20. 장지윤, 신민경, 박주리 (RNA 유전체학 연구실, 김윤기 교수님)

    질문 -원형 RNA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단백질 합성기전은 무엇일까? - RNA 백신 개발에 응용 될 수 있을까? 발견 생물학적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 원리인 central dogma는 DNA로부터 시작해 RNA, 단백질로 이어진다. 이때 최종 생산 물질인 단백질은 번역 과정...
    Date2024.02.22 By생명과학과 Views4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