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생명과학의 역사를 쓰는 사람들 Research Highlights

Extra Form
인터뷰 김성수
논문 Sungsoo Kim*, Taeyoon Kyung*, Jae-Hee Chung, Nury Kim, Sehoon Keum, Jinsu Lee, Hyerim Park, Ho Min Kim, Sangkyu Lee, Hee-Sup Shin & Won Do Heo. Non-invasive optical control of endogenous Ca2+ channels in awake mice(2020). Nature Communications volume 11, Article number: 210 (2020). 10 January 2020
한줄요약 머리에 빛 비춰 공간기억 및 공감능력 높이는 광유전학 기술개발

그림1. monSTIM1의 활성화 개념 그림설명(), 빛 세기에 대한 세포 내 칼슘 활성도()


그림2. 비침습적 광조사를 받고 있는 쥐 (), 빛 자극에 따른 칼슘 신호 마커, c-Fos발현 ()

<빛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monSTIM1의 활성화를 통한 비침습적 뇌세포 칼슘 기능 활성화>


 1. 배경지식

신경 생물학 연구에서 채널로돕신이라는 기술을 통해 그동안 밝히기 어려웠던 많은 신경 생물학적 질문들을 해결해 왔습니다. 그동안 세포 내부의 칼슘이라는 이온이 다양한 신호를 활성화 시키는데 중요하다고 알려져 왔지만, 기술적인 제한으로 인해 실시간적으로 많은 연구가 부족하였습니다. 광유전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저희 연구실에서 옵토스팀원 (OptoSTIM1)이라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 기술을 채널로돕신과 같이 더 많이 사용하게 하고자 더 기술적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습니다. 특히나 인비보 모델에 적용하기 앞서 세포 내부에 과도하게 발현된 옵토스팀원은 기저 칼슘 레벨을 높여 생리적인 상황을 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신경 세포 내 칼슘을 연구하기 위해 부족한 빛의 민감도로 인해 항상 광섬유를 삽입하여 빛 자극을 가해 주었어야 했습니다. 이는 수술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외부 물질인 광섬유로 인해 조직 손상, 면역 반응 유발, 세포 모양 변화와 같은 한계점을 가지게 됩니다.

 

2. 질문

1) 옵토스팀원을 구성하고 있는 식물 단백질 CRY2의 변형을 통해 과발현에 의한 기저 칼슘을 낮출 수 있는가

2) CRY2의 유전자 조작을 통해 빛의 만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3) 빛의 민감도가 증가하였을 때 비침습적으로 생체 모델에 적용할 수 있는가

 

3. 발견

본 연구에서 향상시킨 광유도 칼슘 조절 기술은 빛에 의해 다형체를 형성하는 식물 단백질 Cryptochrome2 (CRY2)의 구조적인 접근법을 통해 빛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형성할 수 있는 이형체를 저해하는 유전자 변형을 유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미 구조적으로 알려져 있는 초파리의 CRY단백질이 이형체를 형성하며 또한 동형단백질인 CRY1단백질 또한 이형체를 이루는 것에 기초 하여 이형체를 형성할 수 있는 루프 구조의 아미노산을 치한하여 효과적으로 기저 칼슘 레벨을 낮출 수 있었습니다. 또한 빛에 의한 다형체 형성을 더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기술인 CRY2clust (C말단의 추가적 9개 아미노산)을 함께 접목하였을 때, 빛의 민감도가 약 55배 가량 증가하였습니다. 아주 작은 빛인 1μW mm-2의 빛 세기에서도 효과적으로 세포 내 칼슘을 유입하는 이 시스템을 몬스팀원 (monster OptoSTIM1)이라 명명하였습니다. 몬스팀원을 쥐 뇌세포를 구성하는 흥분성 신경세포와 아교세포를 타겟팅하여 발현 시켰을 때 LED로 나오는 청색광만으로도 칼슘 하위 신호가 활성화가 되었습니다. 더 나아가 칼슘 관련 단백질들을 저해하였을 때 나타나던 공감 공포 저하 현상을 반대로 칼슘을 올려 주었을 때 효과적으로 공감 공포를 증가시키는 결과도 도출 하였습니다.

 

4. 후속

본 연구는 생체 모델에서 칼슘 활성을 비침습적으로 조절 가능하며, 특히나 장시간에 걸쳐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더 광범위하고 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비침습적으로 세포 내에 발현을 시킬 수 있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라 기대합니다.

 

5. 소감

이 연구를 진행하면서 저희 연구실에서 처음으로 인비보 실험들을 진행했었습니다. 잘 모르는 분야에 있어서 배우고 숙련되기까지 시간이 꽤 걸렸지만 그 덕분에 기술의 장점을 아주 잘 살려 좋은 연구로 발전 시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여 박사 후 과정 연구는 조금 더 질병과 연관하여서 연구에 이용하는 견문을 넓히고자 합니다.

 

6. 기타

이 연구를 하며 많은 지도와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허원도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실험을 처음에 구상하고 발전하는 단계에 함께하고 학위 과정동안 많은 도움과 재미를 주신 이상규 박사님, 경태윤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처음 인비보 연구하는데 있어 실험에 많은 도움을 주신 김대수 교수님, 김정은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뜻깊은 행동 연구로 공동 연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신 신희섭 단장님, 금세훈 박사님 그리고 박정준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항상 즐거운 실험실 하도록 해준 연구실 동료들도 너무 감사합니다. 학위 과정동안 옆에서 많이 응원해주었던 예지, 그리고 곁에서 많이 물심양면으로 많은 도움을 준 다른 연구실분들에게도 감사합니다. 끝으로 오랜 학위 기간동안 믿고 응원해주신 부모님과 가족들에게 감사 인사 전하며, 앞으로도 계속 좋은 연구로 인사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 김성수(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1. monSTIM1의 활성화 개념 그림설명(좌), 빛 세기에 대한 세포 내 칼슘 활성도(우) 그림2. 비침습적 광조사를 받고 있는 쥐 (좌), 빛 자극에 따른 칼슘 신호 마커, c-Fos발현 (우) <빛의 민감도를 증가시킨 monSTIM1의 활성화를 통한 비침습적 뇌세포 칼...
    Date2020.02.03 By생명과학과 Views2727
    Read More
  2. 서예지 (바이오이미징&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 1> Graphical Abstract: 광유도 TrkB 수용체의 국소활성화를 통한 신경세포의 극성화 <그림. 2> 광유도 TrkB 수용체의 국소활성화에 의한 액틴파 형성 및 축삭 단백질의 축적 1. 배경지식 신경세포는 발달과정동안 여러 개의 미성숙 신경 돌기를 가지...
    Date2019.12.26 By생명과학과 Views2430
    Read More
  3. 유다슬이 (바이오이미징 & 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그림 1> 항체조각과 Optobody 모식도 <그림 2> 광활성화된 항체에 의한 항원의 비활성 및 기능 억제 1. 배경지식 항체는 면역반응의 핵심 물질이며 질병 치료제로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항체를 직접적인 질병 치료제로 사용하는 경우 항체 단백질을 정제하...
    Date2019.12.26 By생명과학과 Views2497
    Read More
  4. 김기정 (에피제네틱스 구조생물학 연구실, 송지준 교수님)

    <알데히드-알코올 탈수소효소의 구조 및 기능적 연구 > 1. 배경지식 박테리아에 널리 보존되어 있는 알데히드-알코올 탈수소효소(AdhE)는 발효과정에 관련된 효소이다. 알데히드-알코올 탈수소효소는 두 개의 도메인, 알데히드 탈수소효소와 알코올 탈수소효...
    Date2019.10.21 By생명과학과 Views3657
    Read More
  5. 신왕용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 NMDAR 활성을 통한 NGL-3 돌연변이 생쥐의 비정상적 행동과 전기생리학적 특징 회복 > 1. 배경지식 시냅스는 신경계의 가장 작으면서도 핵심적이고 기능적인 요소로 신경세포 간의 정보전달에 필수적인 구조입니다. 시냅스는 이온통로, 수용체, 접착 단백...
    Date2019.06.11 By생명과학과 Views3840
    Read More
  6. 장성민 (에피제네틱스 구조생물학 연구실, 송지준 교수님)

    < Cryo Electrom Microscopy (Cryo-EM) 으로 규명한 DOT1L – 유비퀴틴 뉴클레오좀 복합체 구조 > < 정상적인 뉴클레오좀 (파란색, 녹색)과 비교했을 때, DNA가 풀려 사라지고 히스톤 2차 구조가 손실되는 불안정화 현상이 관찰됨 (빨강) > 1. 배경지식 Histon...
    Date2019.04.19 By생명과학과 Views3946
    Read More
  7. 정창욱, 하승민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님)

     <생후 7~21일 동안 memantine을 투여한 경우 Shank2 결손 생쥐의 사회성이 개선된다.> 1. 배경지식 자폐증은 어린 나이에 발병되는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약 1%의 유병률을 보이며 최근 점점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Date2019.04.03 By생명과학과 Views3255
    Read More
  8. 박진아 (대사신호전달 연구실, 김세윤 교수님)

    <흥분성 신경세포 특이적 IPMK 녹아웃에 의한 공포기억 소거증진 효과> 1. 배경지식 포유류에게 있어 다가오는 위협에 대응하여, 관련된 사건을 기억하고 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은 생존에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필요 이상으로 과도한 공포를 느껴 수행능력이...
    Date2019.03.28 By생명과학과 Views4127
    Read More
  9. 이윤정 (에피제네틱스 구조생물학 연구실, 송지준 교수님)

     <그림. MRG15 binding to ASH1L releases the autoinhibitory loop, and activates ASH1L histone methyltransferase activity> 1. 배경지식 DNA는 히스톤 H2A, H2B, H3, H4가 각각 한 쌍씩 8개로 결합해 이루어진 octamer에 감겨, 크로마틴의 가장 기본 단...
    Date2019.03.28 By생명과학과 Views3254
    Read More
  10. 김지훈 (바이오이미징 & 광유전학 연구실, 허원도 교수님)

    <형광단백질을 이용한 실시간 small GTPase 단백질 센서의 개발과 생명연구의 적용 > (a) Schematic of ddFP-based small GTPase sensor. (b) (top) Schematic depiction of KRas (G-KRas) sensor construct. (bottom) Fluorescence images showing Ras activ...
    Date2019.02.07 By생명과학과 Views4095
    Read More
  11. 인선아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RNF20/40에 의한 열충격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 1. 배경지식 진핵생물에서 DNA는 히스톤 단백질과 함께 ‘뉴클레오좀’이라는 단위로 존재합니다. 히스톤에는 Methylation, Acetylation, Phosphorylation, Ubiquitylation 등의 다양한 번역 후 수정(Post-...
    Date2019.02.07 By생명과학과 Views2727
    Read More
  12. 정현진 (바이오이미징 및 광유전학 실험실, 허원도 교수님)

    <광활성 Flp을 개발, 마우스 머리에 LED를 비추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 1. 배경지식 유전자 기능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유전자 변형 실험모델을 만드는 것은 많은 시간, 비용, 노력 등이 소요됩니다.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Date2019.01.24 By생명과학과 Views3585
    Read More
  13. 유병준 (바이오나노의약 연구실, 전상용 교수님)

    < 펩타이드-항체 복합체 구성 및 항암 작용기작 > 1. 배경지식 펩타이드의약품이란, 약 40여개 이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물질로 주로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서 생산하는 의약품을 말합니다. 펩타이드의약품은 질병 관련 표적에 특이적 결합으로 인해 임상...
    Date2019.01.09 By생명과학과 Views4938
    Read More
  14. 신안나 (행동유전학 연구실, 김대수 교수님)

    <졸음 행동 모델 제작과정과 T타입 칼슘채널 결핍 마우스 모델의 졸음행동 차이분석> 1. 배경지식 일반적 수면 행동에 비해 졸음행동은 관련 연구가 면밀히 진행되지 않았다. 높은 칼로리의 식품 섭취는 수면을 유도하고, 마우스 모델을 사육되는 상자가 아닌...
    Date2018.12.19 By생명과학과 Views4053
    Read More
  15. 유이슬 (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님)

    <합리적 설계가 가능한 핵단백질 나노 입자와 암세포로의 표적화 및 치료 단백질 전달> 1. 배경지식 지난 수 십년 간 다양한 질병의 진행과 관련한 분자적 기작에 대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세포 외부에 존재하는 생체 분자뿐만 아니라, 세포 내부의 다양한 ...
    Date2018.11.12 By생명과학과 Views4612
    Read More
  16. 전종철 (진핵세포전사 연구실, 김재훈 교수님)

    <효모 Set1 complex 의 H2B ubiquitylation 의존적 H3K4 methylation 기작> 1. 배경지식 핵산인 DNA와 단백질인 히스톤은 염색체의 기본 구성인자인 nucleosome을 이룹니다. DNA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생명현상들 예컨데 DNA replication, DNA repair, DNA ...
    Date2018.10.24 By생명과학과 Views3318
    Read More
  17. 정화진, 박하람 (시냅스뇌질환 연구실, 김은준 교수)

    <Sexually dimorphic gene expression in Chd8-mutant mice> 1. 배경지식 자폐증은 1% 가량의 인류가 영향을 받는, 굉장히 큰 사회적 비용이 들어가는 정신질환입니다. 사회성 문제와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환자를 자폐증으로 진단합니다. 세계적...
    Date2018.08.21 By생명과학과 Views5556
    Read More
  18. 손준영 (생체리듬 연구실, 최준호 교수)

    <배고플 때 잠을 못 자는 이유: 아미노산 세린이 아세틸콜린 신호를 증진시켜 잠을 억제한다> 1. 배경지식 동물들은 성장과 신체의 다양한 대사 작용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먹이로부터 얻으며, 굶게 되면 수면을 억제 시키면서까지 먹이를 찾는...
    Date2018.08.16 By생명과학과 Views4476
    Read More
  19. 허우성 (생체분자공학 연구실, 김학성 교수)

    1. 배경지식 빛을 이용한 세포의 다양한 신호전달 조절은 물리, 화학적 방법보다 비 침습적이고 빠르기 때문에 세포 기능 연구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주로 자연에 존재하는 광 스위치 단백질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많은 ...
    Date2018.07.30 By생명과학과 Views3781
    Read More
  20. 박은애 (식물학 연구실, 최길주 교수)

    <그림. 파이토크롬의 힘: 숲 속, 키 큰 나무 아래 그늘에 비추는 잠깐의 빛으로도 키 작은 식물은 푸르러진다> 1. 배경지식 파이토크롬B는 빛을 인지하여 식물의 발아, 새싹 발달, 개화 등을 조절하는 광수용체이다. 파이토크롬B가 식물의 광형태형성을 촉진...
    Date2018.07.26 By생명과학과 Views450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