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TCTP directly regulates ATM activity to control genome stability and organ development in
Drosophila melanogaster
Hong ST, Choi KW. Nat. Commun., 4, 2986

위 연구성과는 생물학 연구정보센터(BRIC)에서 주관하는 "연구자가 선정한 2014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5"의 기초학술부문에 선정되었습니다.



TCTP directly regulates ATM activity to control genome stability and organ development in
Drosophila melanogaster 
Hong ST, Choi KW. Nat. Commun., 4, 2986


This achievement was selected as "Basic academic area of Researcher's selection: Top 5 news of 2014 in domestic bio research field" which is conducted by BRIC.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4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25
7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317
72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376
71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680
7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69
6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34
68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715
67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284
66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550
65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224
64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697
63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296
62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387
61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285
60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450
59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553
58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943
5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406
5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886
55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342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