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김대수 KAIST 교수는 “나의 뇌를 알고 내가 원하는 대로 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녀교육에서도 뇌훈련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상선 기자

김대수 KAIST 교수는 “나의 뇌를 알고 내가 원하는 대로 뇌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녀교육에서도 뇌훈련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상선 기자

뇌과학자인 김대수(52)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초등학생 시절 공부 못하는 아이였다. 행동 원인을 유전자 관점에서 연구하는 행동유전학의 권위자인 지금의 그를 보면 상상하기 어려운 이야기다.

달라진 비결이 뭘까. 김 교수는 “지금의 모습이 될 때까지 기다려준 사람들이 있어서”라고 요약했다. 문제아로 낙인찍지 않고 실수를 용서해 주고 스스로 고칠 수 있도록 기다려준 부모님과 이웃들이 있어서란 뜻이다.

“뇌에 문제가 있었는지 제 물건을 건드리면 순간적으로 친구를 치고 그랬어요. 한 번은 친구 어머니가 집으로 불러 음식을 대접해 주면서 ‘대수야, 우리 아이가 너한테 맞은 이후로 이불에 코피를 쏟는 일이 많구나. 내가 마음이 아프다’라고 말씀하셨는데 그게 가슴에 와 닿았어요.” 그는 그 후 누군가를 때리지 않았다. 노트 필기를 안 하던 그를 위해 반 친구네 집에 가서 직접 필기를 해 오신 어머니를 보고도 느낀 게 많았다.

뇌과학자가 된 후 그는 어린 시절 ‘문제성 행동’에 대해 뇌과학적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완성되기 전의 뇌는 필요하지 않은 신호를 만들어내는데 그 신호에 반응하다 보면 이상한 근육 반응이나 행동이 만들어진다. 아이들이 선생님께서 숙제를 내주는 순간에 엉뚱한 대상에 집중하거나, 저명인사들이 본능적 실수를 하고 범죄에 연루되는 것도 뇌가 보낸 신호를 추종한 탓”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고 학교폭력, 성폭력 등이 단지 뇌가 성욕, 공격욕을 만들기 때문에 생기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욕구를 충족시킬 ‘때’를 잘못 선택한 결과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뇌엔 이러한 신호를 관찰하는 ‘의식’이 있는데 우리가 스스로 ‘본능의 신호’를 의식하면, 본능의 신호만을 따라 행동하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기다리기’와 ‘욕망의 승화’다. 마시멜로를 먹고 싶은 충동을 참는 실험에서 인내심을 발휘한 아이들이 15년 뒤 사회적, 학업적으로 성공했다는 스탠퍼드대 연구결과도 있다. 그들은 마시멜로를 쳐다보지 않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책상을 발로 차는 행동을 했다. “욕구의 채널을 다른 방향으로 돌려 다른 곳에 몰입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던 것”이라고 김 교수는 분석한다.

그는 “기다리기는 부모에게도 적용된다”고 했다. 아이의 문제 행동에 화내며 비난하기보다 아이가 직접 그 상황이 잘못됐음을 느끼도록 진지하게 부모의 감정을 짧고 굵게 이야기하거나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말이다. 그는 보다 다채로운 인생을 살기 위해선 “뇌가 보낸 본능의 신호를 내가 원하는 삶의 고차원적인 목표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훈련해야 한다”고 조언 했다. 저 서 『뇌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에 이 같은 연구결과를 담았다.

그는 게임중독 아이를 걱정하는 부모들에게 “게임이라는 욕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부모가 화내고 휴대전화를 뺏거나 게임 시간이나 장소를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큰 효과가 없다”며 “이보다는 식물이나 동물을 함께 키우거나 놀이를 함께 해주면서 거실에서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즐겁다는 식으로 뇌 기억 자체를 바꿔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꿈이 없고 공부에 의욕이 없어 보이는 아이와 관련해서는 “공부에 의욕이 없는 것이 아니라 게임과 달리 공부의 경우 해야 하는 목표를 발견하지 못했을 뿐”이라며 “무작정 책상 앞에 앉히기보다 롤모델을 제시하는 등 목표를 생각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0 김세윤 교수, 김은하 박사과정 학생 Science Advances 논문 게재(2017.04) / Prof. Seyun Kim and Eunha Kim, a Ph.D. candidate published a paper in Science Advances (2017.04) new new 생명과학과 2017.05.01 15672
389 최준호 교수,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 과사무실 2012.09.18 15535
388 생명과학과 <b>정종경 교수</b>, 경암학술상 수상! 과사무실 2008.09.23 15474
387 한진희 교수님 실험실 (김지은 Post-doc, 권정태 박사과정) Nature Neuroscience 개제 과사무실 2014.01.21 15436
386 故 박태관 교수가 남기고 간 '흔적'…세계적 학술지 '주목' 과사무실 2011.05.12 15396
385 허원도 교수, 심장질환 원인신호 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사무실 2010.12.20 15375
384 허원도 교수, Mol Cell 과 JMCB 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2.06.11 15287
383 임대식 교수님 실험실 (김민철 박사과정) The Embo Journal 게재(2013.5) 과사무실 2013.07.05 15263
382 김학성 교수, 이중재 박사 Angewandte Chemie에 논문 게재 (2015) / Prof. Hak-Sung Kin and PhD. Joong-Jae Lee published a paper at Angewandte Chemie (2015) 생명과학과 2015.08.31 15227
381 김고운 박사과정생(조경옥 교수 Lab), 2010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우수 포스터상 수상 과사무실 2010.10.15 15216
380 김은준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단장 10명에 선정! 과사무실 2012.05.09 15211
379 이상열 교수(박사 85) KAIST 올해의 동문 선정 과사무실 2005.01.04 15169
378 생명과학과 신임교원 허원도 박사 부임 예정 과사무실 2007.10.16 15146
377 허원도 교수와 양희원, 최하나 학생 Freshman Design Course에서 최우수상 수상! 과사무실 2009.09.07 15144
376 한용만 교수(박상욱 박사과정), Blood 지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10.11.19 15114
375 김경란, 김민진, 김태형 (강창원 교수 lab) 2010’캠퍼스 특허전략 유니버시아드 대회 장려상 수상! 과사무실 2010.12.13 15110
374 임대식 교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에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7.09.01 15081
373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새로운 항암유전자 전달시스템 개발 과사무실 2008.07.08 15037
372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006
371 학사과정 김유나 학생, 2008학년도 인성장학생으로 선정! 과사무실 2008.12.09 150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