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3분 과학 소통, ‘2017 페임랩 코리아’ 한국대표에 목정완 씨



6월 한국대표로 영국 대회 참가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3분 과학 소통, ‘2017 페임랩 코리아’ 한국대표에 목정완 씨
5월 12일(금), 서울 종로구 KT스퀘어 드림홀에서 개최된 2017 페임랩 코리아 본선 경연에서 대상을 수상한 참가자 목정완 씨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과학소통 경연대회 ‘2017 페임랩 코리아’가 12일 오후 2시에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열렸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박태현)과 주한영국문화원(원장 마틴 프라이어)이 공동주관했다. 

페임랩(FameLab)은 PPT 등 별도의 발표자료 없이 과학적 주제에 대해 3분 이내에 발표하는 경연대회다.  

발표자는 주어진 시간 내에 청중이 쉽고 재미있게 과학기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우수한 성적으로 1차와 2차 예선을 통과한 10명이 이번 본선 대회에 참여했다.

열띤 경연을 펼친 결과 발생 유전학이 가진 신비로움에 대해 발표한 목정완 씨(28, KAIST 생명과학 전공)가 대상을 수상했다.  

최우수상은 키메라를 이용한 치료법에 대해 발표한 안영언 씨(25, 고려대 생명과학 전공), 우수상은 슈퍼박테리아에 맞서는 미생물 벨로에 대해 발표한 문원식 씨(25, UNIST 미생물학 전공)가 각각 수상했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미래부 장관상이 수여되고, 영국 페임랩 국제대회(’17.6.6~6.11)에 한국대표로 참가하는 특전이 주어지며, 최우수상과 우수상 수상자도 국제대회를 함께 참관할 수 있도록 지원된다. 

영국 페임랩 국제대회는 ’05년에 시작한 이래 매년 개최되며, 금년까지 누적 53개국이 참가할 예정이다. 

미래부 강병삼 미래인재정책국장은 “올해 벌써 4년째를 맞이하는 페임랩 코리아를 통해 대중이 지적 갈증을 채우고, 과학을 하나의 문화로써 받아들이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최종 본선대회는 KT스퀘어에서 청중들이 방청하는 공개 방송 녹화로 진행되며 페임랩 코리아 본선대회의 전 과정을 담은 특집 프로그램을 편성하여 5월 중 예능 케이블 방송 E채널을 통해 전국으로 방영될 예정이다. 

3분 과학 소통, ‘2017 페임랩 코리아’ 한국대표에 목정완 씨
서울 종로구 KT스퀘어 드림홀에서 개최한 ‘2017 페임랩 코리아’ 대회에서 한 참가자(목정완 씨)가 과학을 주제로 3분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XML: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8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416
87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398
86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396
85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375
84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372
83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366
82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351
81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348
80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327
79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325
78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324
77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321
76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309
75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307
74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301
73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1301
72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300
71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1292
70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283
69 [김재경 교수님] 포스코 사이언스 펠로십 선정​ 생명과학과 2023.10.18 1279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