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로레알코리아(대표 클라우스 파스벤더)와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회장 이연희)은 `제8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진흥상'에 배현숙 연세대 생물학과 교수를 선정했다.

젊은 여성과학자 양성을 위한 펠로십 프로그램 수상자는 △이윤진 한국원자력의학원 선임연구원 △이진아 한남대 생명공학과 조교수 △우주연 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재학생 등 3명으로 결정됐다.

이 상은 국내 생명과학 분야에 공로를 세운 여성 과학자를 포상하기 위해 2002년 제정됐으며, 로레알코리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이 공동으로 운영한다.

배현숙 교수는 기능유전체기법을 이용한 식물생장 및 발달 연구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국내 대표 여성 과학자다. 특히 식물유전체학 분야에서 유전자의 기능을 대량으로 분석할 수 있는 VIGS(Virus-Induced Gene Silencing) 기법을 활용해 식물유전체 연구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했다.

펠로십 수상자인 이윤진 연구원은 인체내 방사선 손상을 방어하는 단백질(HSP25)의 기능과 작동원리를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2003년 한국인 최초로 국제방사선연구학회(ICRR)에서 `젊은 과학자상'을 받았다. 이진아 조교수는 학습과 기억이 일어나는 분자 생물학적 메커니즘 연구를 통해 장기기억 형성에 필수적인 전사 인자들의 역할을 규명해 국제 신경생물학회 등에서 주목받고 있다. 우주연 KAIST 박사과정 재학생은 신경전달이 되는 장소인 시냅스에 위치하면서 시냅스 형성을 조절하는 세포접착단백질(CAM) 중 하나인 `NGL'이라는 새로운 시냅스 단백질을 발견해 연구하고 있다. (디지털타임즈)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141
115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2138
114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2126
113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2105
11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2092
111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2037
110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031
109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2027
108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024
107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2008
10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976
105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1959
104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952
103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942
102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939
101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885
100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877
99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871
98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871
97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847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