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KAIST "조현병·ADHD 등 충동성 나타내는 뇌 질환 치료에 기여"

 

 

생쥐 실험을 통해 밝힌 전대상 피질의 억제성 회로 일러스트
생쥐 실험을 통해 밝힌 전대상 피질의 억제성 회로 일러스트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 연구팀이 시각 정보를 인식해 행동을 결정하는 대뇌 전두엽의 신경회로 과정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우리 몸은 외부의 감각 정보를 인식해 상황에 맞는 행동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신호등의 빨간 색 신호를 보면 멈추고, 초록색 신호를 보면 출발한다.

이처럼 시각 정보를 인식하고 그에 맞는 운동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인체 뇌는 감각 정보를 적절한 운동 정보로 변환해야 하는데, 이 교수 연구팀은 이것이 전측 대상회(전대상) 피질(ACC·anterior cingulate cortex)의 억제성 회로에 의해 이뤄짐을 밝혔다.

전대상 피질은 신체적인 고통에 반응하고 통증 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으로, 뇌 전두엽에 자리 잡고 있다.

연구팀은 시각 자극이 주어지면 물을 핥고, 그렇지 않으면 핥기를 멈추는 행동을 학습시킨 생쥐의 전대상 피질에 고밀도 실리콘 전극을 삽입, 생체 내 신경 신호를 측정했다.

생쥐 전대상 피질의 신경 신호 측정 실험

생쥐 전대상 피질의 신경 신호 측정 실험

 

 

약물을 이용해 전대상 피질의 활성도를 낮춘 결과, 생쥐는 시각 자극이 주어지지 않았음에도 충동적으로 핥기를 지속하는 비정상적인 행동 양상을 보였다.

전대상 피질은 시각 정보가 없을 때 운동을 멈추고 기다려야 하는 충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대상 피질에는 시각 정보에 반응하는 시각 반응성 신경세포와 운동 개시를 억제하는 운동 억제성 신경세포, 시각 정보와 운동 개시 모두에 반응하지 않는 나머지 신경세포들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특히 광유전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대상 피질의 시각 반응성 신경세포들은 시각 피질로부터 신경 정보를 직접 전달받음을 확인했고, 광 자극으로 해당 신경 회로를 활성화하면 시각 자극이 없어도 생쥐의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나 조현병 등과 같은 인지장애·충동성을 나타내는 뇌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jyoung@yna.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 윤기준 교수, '2019 서경배과학재단 신진 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19.09.23 5914
151 김학성 교수, 세포 내 단백질 전달 효율 높이는 DNA 기반 나노구조체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5798
150 허원도 교수, 빛만 비춰도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효소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01.21 5645
149 이승재 교수, 올리브유의 노화 방지 및 장수 효과 입증 file 생명과학과 2019.08.22 5620
148 정현정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우십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07.04 5600
147 KAIST 김승중 교수 (생명과학과 겸임교수) 대한민국바이오의약품대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1.04 5439
146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5351
145 허원도 교수님_머리에 빛 비춰 공간기억 및 공감능력 높이는 광유전학 기술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20.01.21 5319
144 허원도 교수, 항체를 빛으로 활성화 시키는 항체광유전학 기술 개발 file 생명과학과 2019.10.28 5277
143 강창원 교수님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0.01.29 5041
142 손종우 교수님_ 소금 섭취 제어할 수 있는 신체 메커니즘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0.02.12 4965
141 이승희 교수님_KAIST, 뇌 인지기능 높이는 물질 발견… 치매 치료 효과 기대 file 생명과학과 2020.04.26 4947
140 임대식 교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4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19.12.26 4936
139 서성배 교수, 당뇨에 큰 영향 미치는 뇌 혈당조절 신경세포 발견 file 생명과학과 2019.10.30 4750
138 허원도 교수, 광유전학 신경세포 수용체 활성조절로 신경세포분화 운명 제어 성공(Cell Chemical Biology 표지논문 발표) file 생명과학과 2019.12.24 4593
137 정인경 교수, 인체 조직읜 3차원 게놈지도 해독 file 생명과학과 2019.09.25 4569
136 제5회 연구노트 경진대회(Lab Note Contest) 시상식 file 생명과학과 2020.04.03 4399
135 허원도 교수님_머리에 빛을 비춰 신경세포 재생과 공간기억 향상 file 생명과학과 2020.04.27 4114
134 김세윤교수님_보톡스처럼 신경 활성 억제하는 뇌 속 생체물질 찾았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3.26 4078
133 허원도 교수님_빛으로 RNA 이동과 단백질 합성 조절한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2.20 4054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