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수상자엔 상금 500만원, 300만원

 

카이스트 박사과정 김한라 씨
카이스트 박사과정 김한라 씨
포스텍 박사과정 지동섭씨
포스텍 박사과정 지동섭씨

포스텍(포항공대) 소통과 공론 연구소가 주관하고 SF 전문 출판사 아작이 후원한 '제2회 포스텍 SF 어워드'에서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김한라 씨의 '리버스'와 포스텍 화학공학과 박사과정 지동섭 씨의 '인간이라는 동물의 감정 표현'외 1편이 각각 단편과 미니픽션 부문에 당선됐다.

단편 부문 가작에는 KAIST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의 '잇츠마인'이, 미니픽션 부문 가작에는 이화여대 스크랜튼대학 뇌·인지과학과 학부생 정도겸의 '인면화' 외 1편이 선정됐다. 심사는 한국 SF 문학을 대표하는 김초엽, 정소연 작가와 박인성 평론가가 맡았다.

이공계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의 SF 공모전인 '포스텍 SF 어워드'는 글쓰기를 통해 인문학적 감수성을 키우고 사회와 소통하기 위한 취지로 기획됐다.

올해로 두 번째 맞는 공모전에는 대학생과 대학원생 등이 참여해 단편 45편, 미니픽션 40편을 냈다.

김초엽 작가는 당선작 '리버스'에 대해, "'가상세계 안의 가상세계'라는 설정을 흥미로운 장면 연출과 완성도 높은 구성을 통해 매끄럽게 펼쳐나갔다"고 평했다.

박인성 평론가는 "지동섭 씨 작품은 미니픽션의 짧은 소설적 분량에도 불구하고 장르소설의 특징을 명확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제한적인 소설적 상황 속에 명확한 이야기적 완결성을 전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단편소설, 미니픽션 수상자에게는 포스텍 총장상과 함께 상금 500만원, 300만원이 각각 주어진다.

한편 이번 대회의 수상작 및 심사위원 추천작은 수상작품집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박승혁 기자 psh@imaeil.com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202091610300776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3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880
422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891
421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913
420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921
419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942
418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942
417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955
416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1955
415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1977
414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983
413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984
412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987
411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2000
410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2004
409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2017
408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2018
40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2039
406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2041
405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2043
404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21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