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6387 댓글 0
대한민국학술원은 제57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자로 허수열 충남대 교수 등 5명을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학술원상은 우리나라 학술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거나 기여도가 높은 사람에게 수여한다. 1955년부터 총 217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사회과학 부문 수상자인 허 교수는 <개발 없는 개발-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이라는 저서에서 일제 강점기 조선의 농수산업ㆍ공업ㆍ광업 등 경제 전분야의 자료를 처음으로 계량화해 이 기간의 개발이 사실상 도움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했다. 학술원 측은 "한국근대경제사에 이정표를 세운 공이 인정된다"고 설명했다.

자연과학 기초 부문에서는 극초단(100조분의 1초)의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2차원 분광학을 연구 개발해 이 분야 최초의 저서인 <2차원 분광학>을 쓴 조민행 고려대 교수가 수상했다. 조 교수의 저서를 바탕으로 분자 단위의 매우 빠른 움직임과 생체 반응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 가능해져 기초과학적 연구방법론 개발로 이어졌다는 부분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같은 부문에서 카이스트 최준호 석좌교수는 초파리의 생체리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투엔티-포'(twenty-four)를 발견해 그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 상을 받았다.

유정열 서울대 명예교수는 유체역학의 난제인 톰스현상(극미량의 고분자 첨가제에 의한 난류항력감소 현상)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논문을 작성한 공로를 인정받았고, 김성훈 서울대 교수는 단백질 합성효소가 다양한 세포조절 기능도 수행하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한 연구 논문의 독창성으로 각각 자연과학 응용 부문상을 받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8 [전상용 교수님] 탄수화물 나노입자로 염증성 장 질환 치료하다​ 생명과학과 2023.08.02 991
427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998
426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1005
425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1005
424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007
423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012
422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024
421 [김찬혁 교수님]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3.06.08 1025
420 [강석조 교수님] DNA 인식 선천면역인자의 방호패치 발견​ 생명과학과 2023.12.05 1040
419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045
418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045
417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061
416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065
415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067
414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1068
413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076
412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080
411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092
410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101
409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1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