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2 |
[이흥규 교수님] 짠 음식의 뇌종양 악화 유발 원인 세계 최초 밝혀
|
생명과학과 | 2025.06.04 | 118 |
461 |
[허원도 교수님] 세계 최초 유전자 가위로 원하는 RNA ‘콕’ 집어 아세틸화 성공
|
생명과학과 | 2025.06.10 | 136 |
460 |
[정현정 교수님] 슈퍼박테리아 방패 ‘바이오필름’ 무력화 치료 플랫폼 개발
|
생명과학과 | 2025.05.30 | 162 |
459 |
[허원도 교수님] 2025 KAIST 리서치데이에서 KAIST 대표연구성과 10선 선정
|
생명과학과 | 2025.05.23 | 183 |
458 |
[김세윤 교수님] 2025 KAIST 교육혁신의 날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
생명과학과 | 2025.05.21 | 187 |
457 |
[한진희 교수님] 심리적 공포기억 조절 뇌 회로 최초 규명-트라우마 치료 새 전기
|
생명과학과 | 2025.05.15 | 241 |
456 |
제1회 강창원 교육상 시상식 개최 (2025년 3월 5일)
|
생명과학과 | 2025.03.26 | 600 |
455 |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
생명과학과 | 2025.02.14 | 644 |
454 |
[김호민 교수님] 선천성면역을 조절하는 인공단백질 디자인, 차세대 백신·면역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
생명과학과 | 2025.02.14 | 654 |
453 |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
생명과학과 | 2025.02.14 | 673 |
452 |
[이광록 교수님]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메커니즘 규명
|
생명과학과 | 2025.02.17 | 699 |
451 |
[강석조 교수님] 암세포 사멸과 연관된 대사를 관장하는 최상위인자 규명
|
생명과학과 | 2025.03.11 | 740 |
450 |
[임대식 교수님] 3·1문화상(자연과학 부문) 수상
|
생명과학과 | 2025.01.13 | 803 |
449 |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
생명과학과 | 2025.02.03 | 811 |
448 |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
생명과학과 | 2024.12.18 | 881 |
447 |
[정현정 교수님] 우리 대학 교원 6인, Y-KAST 회원 선출
|
생명과학과 | 2024.12.18 | 893 |
446 |
[이흥규 교수님] 난치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열다
|
생명과학과 | 2024.11.06 | 929 |
445 |
[정민환 교수님] 뇌 신경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규명
|
생명과학과 | 2024.12.24 | 956 |
444 |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
생명과학과 | 2025.01.09 | 958 |
443 |
[유지환(허원도 교수님 연구실)] Merck-KAIST 대학원 국제 장학생 선정
|
생명과학과 | 2024.11.26 | 10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