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이승희 교수님_2020042301826_0.jpg

이승희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맨 오른쪽)와 팀원들. /KAIST 제공


KAIST, 뇌 인지기능 높이는 물질 발견… 치매 치료 효과 기대


국내 연구진이 뇌 속에서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 물질을 발견했다.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장애의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치매 환자의 뇌척수액(뇌와 척수를 순환하는 무색투명한 액체)에서 '소마토스타틴'이라는 물질이 크게 감소한다는 점에 주목, 소마토스타틴이 인지기능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23일 밝혔다.

원래 소마토스타틴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있다. 성장호르몬이 지나치게 분비돼 생기는 말단비대증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 당뇨병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소마토스타틴은 뇌와 뇌척수액에도 존재하는데, 치매 환자의 경우 이 물질이 현저히 줄어든다. 학계는 소마토스타틴이 뇌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정해왔지만, 그 기능이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실험쥐의 뇌척수액에 소마토스타틴을 직접 주입한 후 쥐의 인지기능을 관찰했다. 그 결과 시각정보와 관련한 인지기능이 현저히 증가함을 발견했다.

소마토스타틴은 뇌에서 직접 만들어질 뿐 아니라 독성이없어 뇌와 뇌척수액에 안전하게 주입할 수도 있다. 때문에 치매 같은 인지기능장애를 치료하는 데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이승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두뇌 기능을 높이고,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22일자로 게재됐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3/2020042301838.html?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5 조병관 교수님_Antibiotic tolerance study paves way for new treatments 생명과학과 2021.03.03 704
324 정원석 교수님_국내 연구진, 우리 뇌가 계속 일할 수 있는 이유 밝혀 생명과학과 2021.02.26 1584
323 서성배 교수님(김진은 석박사통합과정)_2020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5 1788
322 KAIST-원진 세포치료센터 기부 및 투자 약정 업무협약식 생명과학과 2021.02.22 1029
321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766
320 조병관 교수님_Antibiotic tolerance study paves way for new treatments 생명과학과 2021.02.19 1703
319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718
318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816
317 김찬혁 교수님_인공지능 이용 면역항암 세포 3차원 분석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131
316 정인경 교수님_KAIST, 전 세계 최대 규모의 3차원 암 게놈 지도 구축 생명과학과 2020.12.29 1223
315 정원석 교수님_Astrocytes eat connections to maintain plasticity in adult brains 생명과학과 2020.12.28 1673
314 전상용 교수님_Researchers review future directions of nanomedicine development 생명과학과 2020.12.28 969
313 김진우 교수님_생명의 신비상 장려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0.12.24 1491
312 정현정 교수님_도파민의 성질로 박테리아 생장의 실시간 탐지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12.09 1286
311 조병관 교수님 _Newly discovered metabolic pathway uses single carbon gases as a feedstock file 생명과학과 2020.11.20 3572
310 [한국의 AI 추격자들] 서범석·백승욱 루닛 창업자 file 생명과학과 2020.10.30 2707
309 정원석 교수_ 삼성전자,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 맞아 연구원 노력 담은 영상 공개 생명과학과 2020.09.21 2555
308 정현정교수_ 커피링 효과로 감염병 신속진단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0.09.17 2298
307 서경배재단 ‘올해의 신진 과학자’ 조원기 교수 선정 생명과학과 2020.09.16 3977
306 전상용교수님_항암제 표적 단백질을 약물 전달체로 쓴다?​ file 생명과학과 2020.08.26 284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