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 유다슬이 박사 대상 수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1b429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5pixel, 세로 883pixel


에쓰-오일이 설립한 공익재단 에쓰-오일과학문화재단은 2월 16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본사에서 '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 논문상' 시상식을 열었다.

  

우수학위 논문 대상 생물학 분야에 체광유전학 기술 개발을 통한 세포 내 단백질 기능을 연구 한 유다슬이 박사(KAIST)가 수상하였다.

 

유다슬이 박사는 '항체광유전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고 기술을 개발한 것에 이어 이를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에 적용 및 발전시켜 인류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6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943
355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982
354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995
353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2009
352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2013
351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2027
350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2056
349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2064
348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066
347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2070
346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074
345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2144
344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2146
»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2167
342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175
341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2183
340 조병관교수님_온실가스를 바이오 물질로 전환…미생물 활용한 '인공광합성' 성공 생명과학과 2021.03.10 2212
339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2222
338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2240
337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22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