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12140088#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12140088#한국인의 유전적 차이를 보여 주는 유전자(DNA)변이 지도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완성됐다.

과학기술부는 한국인 90명의 DNA에서 2만5000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찾아내 12월 안에 국제 SNP 등록기관인 ‘dbSNP’웹 사이트에 공개할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그동안 국내 연구자들에게 한국인의 일부 유전정보가 제공된 적은 있지만 대규모로 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NP란 피부와 머리카락 색깔, 체질, 질병, 감수성 등 개인과 인종의 유전적 특성을 나타나게 하는 부분으로 DNA의 0.1%에 해당된다.

한솥밥을 먹는 가족이라도 눈과 코, 입의 모양이 제각각 다른 것도 이 차이 때문이다.

SNP의 기능을 밝히면 유전적 차이로 생긴 질병을 맞춤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해외에서는 2002년부터 해외 6개국에서 200명의 과학자로 구성된 유전자연구 컨소시엄에서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 특정 유전자의 상세한 지도를 만들어 왔다.

이 유전자지도는 SNP의 집합체인 ‘일배체형(haplotype)’에서 따와 ‘햅맵(Hap Map)’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금까지 햅맵에는 나이지리아와 미국에서 각 90명, 중국 45명, 일본 44명 등 269명으로부터 뽑아낸 330만 개의 SNP 정보가 등록돼 있다.

과기부는 이번에 등록되는 2만5000개 외에 내년 4월에 101만 개를 추가 등록하는 등 2008년 4월까지 총 200만 개의 한국인 SNP지도를 완성할 계획이다.

과학자들은 이 지도를 토대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찾아내 질병 진단과 예측, 치료법 등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연구를 주도한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강창원(사진) 교수는 “이번 유전자지도 작성은 위암, 당뇨 등 한국인이 쉽게 걸리는 병의 원인을 찾는 것은 물론 인종 간 비교분석 연구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인 고유의 질환과 약물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밝히는 ‘한국인 일배체형 정보사업’ 가운데 하나로 이뤄졌다.


박근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unta@donga.com


관련이미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7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533
316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300
315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261
314 [정인경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대장암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해독​ 생명과학과 2023.07.25 104
313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311
312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565
311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400
310 [조병관 교수님 연구실] 2022년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3.01.27 246
309 [조병관 교수님] 대량의 고농도 일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바이오케미칼로 전환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5 408
308 [조병관 교수님] 이산화탄소 흡수해 아세트산 만드는 '친환경 미생물' 5종 발견 생명과학과 2022.06.17 2701
307 [조병관 교수님]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합성생물학 기반 차세대 미생물 대사 조절 밸브 개발 생명과학과 2022.04.15 875
306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564
305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1966
304 [조선일보] 김재섭 교수 고열에도 뇌손상 막는 유전자 최초 발견 과사무실 2005.01.31 12017
303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3954
302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512
301 [중앙일보] 김재섭 교수 치매 막는 신물질 4종 발견 과사무실 2005.08.08 12035
300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3433
299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761
298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48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