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강창원.png 강창원 교수님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한국 연구자들이 생물학 교과서를 다시 썼다. 생명체가 유전정보(DNA)를 발현하는 과정에서 RNA를 합성하는 복합체를 재사용하는 과정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은 강창원 KAIST 생명과학과 명예교수와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이 DNA를 토대로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자 발현과정의 세부단계 하나를 새로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존에는 RNA가 완성되면 합성 복합체가 곧장 완전히 해체되었다가 다시 조립되는 것으로 추정해 왔다.
 
 
유전정보가 담긴 원본(DNA)으로부터 복사본(RNA)을 만드는 전사과정은‘개시-연장-종결’세 단계였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네 번째 단계, ‘재생’이 새로 추가됐다. 전사과정을 주도하는 RNA 중합효소의 역할이 알려진 지 60여 년 만에 RNA 합성이 끝나고 어떻게 다시 시작되는 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이다.
전사과정의 네 단계. 지금까지는 전사과정을 개시, 연장, 종결의 세 단계로 나누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종결 이후 4번째 단계가 발견되어 재생단계라고 명명되었다. 자료=강창원 교수

전사과정의 네 단계. 지금까지는 전사과정을 개시, 연장, 종결의 세 단계로 나누었으나, 이번 연구에서 종결 이후 4번째 단계가 발견되어 재생단계라고 명명되었다. 자료=강창원 교수

 
연구팀은 거푸집 역할을 하는 DNA로부터 RNA가 본떠진 이후에도 중합효소가 DNA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DNA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알아냈다. 나아가 이렇게 잔류한 중합효소가 DNA상에서 자리를 옮겨 전사를 다시 시작하는 것을 알아내고 ‘재개시’(再開始ㆍreinitiation)라고 이름지었다.  
 
중합효소는 마치 선로 위를 달리는 기차처럼 DNA 위를 이동하면서 RNA를 합성하다가 완성된 RNA를 방출한다. 기존에는 RNA 방출과 동시에 중합효소가 DNA로부터 떨어져 나온 후 다시 전사 복합체가 만들어져 전사과정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추정해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 대부분의 경우 중합효소가 DNA에서 떨어지지 않고 계속 붙은 채로 이동하다가 새로 전사과정을 시작하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우리 생명체가 복잡한 전사복합체를 해체하고 다시 조립하는 것보다 경제성을 택한 것으로 해석했다. 실제 한 유전자에서 전사를 연속해서 수행하거나 인접한 여러 유전자를 한꺼번에 전사할 때 매우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전사반응은 모든 세포에서 일어나는 매우 기본적인 과정으로, 고등학교 생물학 교과서에서부터 나오는데 연구팀은 이번 발견으로 전사의 ‘재생’과 ‘재개시’단계가 추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논문의 공동 교신저자를 맡은 강창원(69) KAIST 생명과학과 명예교수는 “이 연구를 8-9년 전에 시작해 3년 전 은퇴하기 전에 주요 결과를 이미 얻었지만 추가로 보강 실험을 수행하느라 발표가 늦어졌다”며 “분자생물학의 근간인 유전자발현의 기본적인 기작 하나를 규명하게 돼 크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게재됐다. 서울대 강우영 연구원과 KAIST 하국선 박사가 공동 제1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출처: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689477    
     
최준호 과학ㆍ미래 전문기자 joonho@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생물학 교과서 다시 쓴다… RNA 합성 재생단계 국내 학계서 최초 규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2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422
351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3516
350 [매일경제] 관절염 맞춤치료 길 열린다 - 강창원 교수·한양대 의대 배상철교수 공동연구팀 과사무실 2005.03.30 11898
349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299
348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0900
347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71
346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306
345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514
344 [서울경제] 생물분야: KAIST 생물사업단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4002
343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448
342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423
341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813
340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007
339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790
338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441
337 [유슬기(양한슬 교수님 연구실)] 제4회 'POSTECH SF 어워드', KAIST 유슬기 씨 당선 생명과학과 2024.02.27 184
336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548
335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446
334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589
333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58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