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article.joins.com/article/naver.asp?aid=2740405http://article.joins.com/article/naver.asp?aid=2740405`초파리 소녀` 떴다 … KAIST 박지혜씨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중앙일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2년차인 박지혜(26.사진)씨는 '초파리 소녀'로 불린다. 지난 4년간 오전 9시부터 밤 12시까지 데이트 한번 못 하고 늘 초파리와 같이 해온 까닭이다. 박씨는 "처음엔 5㎜에 불과한 초파리가 너무 작게 느껴졌지만 이젠 1㎜도 안되는 초파리의 머리 부분을 자유자재로 해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박씨는 초파리 연구를 하면서 '네이처'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등 세계적인 과학저널 세 군데에 '제1 저자'로 논문을 실었다. 뇌 신경 이상으로 운동 능력을 상실하는 파킨슨씨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초파리를 이용해 규명한 논문들이다. 이 같은 연구 활동을 인정받아 그는 21일 서울 홍릉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제5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 진흥상' 펠로십 부문 상과 함께 500만원의 상금을 받았다. 이 상은 프랑스의 세계적인 화장품 회사 로레알이 유네스코와 함께 국내 여성 생명과학계의 발전을 돕자는 취지로 2002년에 제정했다. 올해부터 신진 여성과학자를 육성하기 위해 펠로십 부문을 새로 만들었다. 박씨는 지난 5년간 수상자 가운데 최연소다.

그는 "입학 동기 40여 명 가운데 10명이 의대로 옮겨갔지만 내 갈길을 꾸준히 가다보면 인류에 유익한 결과를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시상식에서 대상 격인 진흥상은 고려대 생명과학부 백경희(50) 교수가 상금 1000만원과 함께 받았다. 또 박씨와 함께 울산대 면역제어연구센터 김주양(28) 박사와 KIST 생체대사연구센터 송은주(32) 연구원이 펠로십 부문을 공동 수상했다.

심재우 기자 [jwshim@joongang.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282
341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0885
340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349
339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1097
338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487
337 [서울경제] 생물분야: KAIST 생물사업단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3980
336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417
335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392
334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749
333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4994
33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726
331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413
330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511
329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413
328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548
327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481
326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209
325 [이승희 교수님] 신경전달물질 소마토스타틴의 알츠하이머 독성 개선효과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25 381
324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461
323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74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