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철호 박사, 김병찬 박사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왼쪽부터)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철호 박사와 김병찬 박사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노령 쥐에 장내 유익균을 경구 투여, 건강 수명 연장 가능성을 확인한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등 국내연구는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 2021년 12월 15일 게재됐다.(자료=마이크로바이옴·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대전=뉴스프리존] 이기종 기자= 한국연구재단(NRF)은 KAIST 생명과학과 조병관 교수팀이 이철호, 김병찬 박사팀(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노령 쥐에 장내 유익균을 경구 투여, 건강 수명 연장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암, 우울증, 비만, 치매, 당뇨, 노화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과 마이크로바이옴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장 속에 공존하는 수십억 마리의 미생물 군집으로 체내에서 영양분 흡수, 면역체계 조절, 뇌 발달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장내 미생물 구성 역시 끊임없이 변화되며 이러한 변화는 건강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외과적 방법으로 젊은 쥐와 노령 쥐의 혈액을 공유하는 파라바이오시스(Parabiosis) 모델이나 조로증 마우스 모델에 젊은 쥐의 장내 미생물을 전달해 수명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다양한 회춘방법에 따른 노화과정과 장내 미생물군 유전체의 변화는 아직 비교된 적이 없으며 유익한 장내 미생물을 이용해 노령 쥐의 건강 수명을 연장한 연구도 없었다.

이번 연구팀은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화 및 회춘 생쥐모델을 구축하고 장내 미생물 메타게놈 분석을 진행해 아카먼시아 미생물 및 부티레이트(Butyrate) 생합성 경로 관련 유전자들이 회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규명했다.

연구과정을 보면 여러 연령대의 노화 모델을 만들고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과 메타게놈의 기능을 분석했다.

메타게놈 분석은 특정 환경 시료에 존재하는 모든 유전체의 집합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으로써 시료 내 존재하는 전체 미생물 군집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군집 내 어떤 대사회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분석 결과, 젊은 쥐에는 유익균으로 알려진 아카먼시아를 포함한 5종의 미생물이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존재함을 확인했고 노령 쥐에서는 유해균으로 알려진 파라프레보텔라(Paraprevotella)를 비롯한 13종의 미생물이 높은 비율로 존재함을 확인했다.

특히 회춘 모델 분석 결과, 3가지 회춘 모델 모두에서 노령 쥐에서 유의하게 많이 발견되었던 유해 미생물은 감소함을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카먼시아 미생물을 노령 쥐에 경구 투여해 마이크로바이옴 패턴을 변경하고 노령 쥐의 장 건강, 근육 기능, 인지능력 그리고 면역체계의 노화 관련 표현형을 개선하는 등 노령 쥐의 건강 수명을 연장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고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 2021년 12월 15일 게재됐다.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5734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241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0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867
359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021
358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739
357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989
»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977
355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005
354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1285
353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958
352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806
351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055
35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822
349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017
348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1017
347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745
346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1517
345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924
344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886
343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1093
342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914
341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7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