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207630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207630 ‘동물 체온의 비밀’ 열쇠 찾아

- 초파리 뇌 조절원리 첫 규명 KAIST팀 논문 ‘네이처’ 수록

동물들은 체온이 왜 다른지, 그리고 한류·난류성 어종은 왜 차고 더운 물을 좋아하는지 비밀을 밝히는 단서를 얻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재섭 교수팀은 초파리 뇌의 ‘머시룸 보디’라는 부위가 초파리의 체온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영국 학술지 네이처 29일자 인터넷판에 실렸다. 이와 함께 네이처의 이번 주 특별 논문으로 선정됐다.

초파리 뇌에는 양송이 버섯 모양의 신경다발이 뭉쳐 있는 곳이 있다. ‘머시룸 보디’라고 부른다. 이 부위는 기억과 학습을 맡는데 이곳에 체온 조절 기능까지 있다는 것이다. 사람의 체온 조절 중추신경은 뇌의 시상(척수가 뇌와 연결되는 부분) 하부에 있다.

머시룸 보디의 활동은 그 속에 있는 ‘사이클릭에이엠피(cAMP)’라는 물질의 농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 이 물질의 농도가 높으면 PKA라는 효소의 작용이 활발해지고, 뇌는 이런 신호를 받아 높은 체온을 유지하라고 생체를 지휘한다. 반대로 그 농도를 낮추면 낮은 체온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초파리 유전자를 조작해 머시룸 보디의 작동 원리를 알아냈다.

김 교수는 “이런 현상은 사람과 같은 고등 동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고 추정했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2789
367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4069
366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5216
365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2364
364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1188
363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4250
362 [매일경제] 관절염 맞춤치료 길 열린다 - 강창원 교수·한양대 의대 배상철교수 공동연구팀 과사무실 2005.03.30 12647
361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983
360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1612
359 [메디포럼 정재언 대표] 메디포럼, 정재언 연구소장 신임 대표이사 선임…“임상 R&D 중심 경영 집중” 생명과학과 2022.03.14 1199
358 [서성배 교수님] 소금 결핍 시 장에서 섭취 욕구 조절하다​ 생명과학과 2024.05.03 751
357 [서성배 교수님] 육감 센서 찾는 서성배 카이스트 생명과학부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03 2422
356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1186
355 [서울경제] 생물분야: KAIST 생물사업단 선정 과사무실 2004.12.09 14717
354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1198
353 [송지준 교수님] 헌팅턴병 발병원인 제거를 위한 치료제 개발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9.02 1267
352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1721
351 [양한슬 교수님] 해양 속 82%까지 생분해되는 종이 포장재 개발 생명과학과 2024.05.20 940
350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667
349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64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