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김홍식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김홍식 박사 >

 

암을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단백질 조립체는 암 치료를 위한 약물 전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단백질 조립체를 약물 전달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암세포를 인식하는 단백질과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약물을 단백질 조립체에 효과적으로 접합시키는 기술즉 기능화(functionalization) 기술이 필수적이다그러나단백질 조립체의 경우 기능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효율이 낮으며대부분 작은 크기의 화학 약물(chemical drug)의 적용에만 한정되어 실제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클라트린 조립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생체 내 클라트린이라는 단백질 조립체는 세포 안에서 자가조립(self-assembly)되어 물질을 효율적으로 수송(endocytosis)한다클라트린 조립체는 먼저 3개의 중쇄(heavy chain)와 3개의 경쇄(light chain)가 결합하여 트리스켈리온(triskelion)이 만들어지고이후 트리스켈리온이 자가조립 되어 형성된다연구팀은 이에 착안하여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 암세포 인식 단백질과 독소 단백질의 기능화가 용이하도록 클라트린 사슬을 설계하였고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클라트린 조립체(clathrin assembly)를 얻었다. (그림 1) 

그림 1. 연구팀이 개발한 클라트린 조립체 모식도

< 그림 1. 연구팀이 개발한 클라트린 조립체 모식도 >

 

개발된 클라트린 조립체는 원 포트 반응(one-pot reaction)으로 두 종류의 단백질(암세포 인식 단백질과 독소 단백질)을 동시에 높은 효율로 접합시킬 수 있어향후 약물 전달백신 개발 및 질병 진단 등을 포함한 생물 의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종양 표지자인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를 인식하는 단백질을 사용하여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었다. EGFR을 인식하는 단백질로 기능화된 클라트린 조립체는 결합증대 효과(avidity effect)로 인해기존보다 무려 900배 이상 향상된 결합력을 보였다연구팀은 이를 기반으로독소 단백질을 연결한 클라트린 조립체를 세포에 처리했을 때정상 세포에는 영향이 없으나 암세포만 효과적으로 사멸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홍식 박사가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스몰(Small)'에 지난 2월 22일 자 19권 8호에 출판됐으며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그림 2) (논문명 Construc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a Clathrin Assembly for a Targeted Protein Delivery) 

그림 2. 국제 학술지 '스몰' 표지논문 그림

< 그림 2. 국제 학술지 스몰 표지논문 그림 >

 

저자인 김홍식 박사는 "클라트린은 기능화가 어렵고 포유류의 세포로부터 추출해서 얻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적용이 제한되었다라며 이번 연구에서 새로 설계한 클라트린 조립체는 한 번의 반응으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단백질로 기능화할 수 있고대장균에서 생산 가능하여생물 의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단백질 조립체 응용 기술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양성사업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3 생명과학과 박태관 교수, 새로운 항암유전자 전달시스템 개발 과사무실 2008.07.08 15636
382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515
381 최광욱 교수, 홍성태 박사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9) / Prof. Kwang-Wook Choi and Dr. Sung-Tae Hong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생명과학과 2016.10.06 15511
380 한진희 교수, 원혜정 학생(김은준 교수 Lab) 2009' 청암 과학펠로 선정! 과사무실 2009.11.27 15482
379 홍철암 박사과정(김학성 교수 Lab), ICMAT 2011에서 The Best Poster Award 수상! 과사무실 2011.07.06 15454
378 최길주 교수, PNAS(P Natl Acad Sci USA) 4월호에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09.04.23 15395
377 김진우 교수 경력개발상 수상 과사무실 2007.04.10 15258
376 강창원, 김은준 교수팀, ADHD 유전자 찾았다 과사무실 2011.04.18 15228
375 김은준 교수 창의과제 신규 선정 과사무실 2003.09.08 15223
374 임대식 교수, 김민철 박사 Cell Reports 에 논문 게재(2015.03) / Professor Dae-Sik Lim and Min Cheol Kim, Ph.D Publish in Cell Reports (2015.03) 과사무실 2015.04.06 15094
373 임대식 최길주 교수 승진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9.01 15063
372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5054
371 송지준 교수, PNAS 게재 (2012.8) 과사무실 2012.12.10 15049
370 김대수 교수 생명과학과 부임 과사무실 2004.09.01 14990
369 송지준 교수, 김은지 박사 Molecular Cell에 논문 게재(2015) / Prof. Ji-Joon Song and PhD. Eun-Ji Kim published a paper at Molecular Cell (2015) 과사무실 2015.07.29 14971
368 정유진 석사과정 학생, 조병관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논문 게재(2016.06) / Yujin Jeong, a Master's degree student and Prof. Byung-Kwan Cho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6) 생명과학과 2016.06.07 14953
367 허원도 교수, Nature Communications지 논문 게재 (2014. 6) 과사무실 2014.06.05 14923
366 김은준 교수 연구팀, 자폐증 치료 가능성 열어 과사무실 2012.06.15 14872
365 서연수 교수 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3.09.08 14839
364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8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