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김홍식 박사

< (왼쪽부터)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김홍식 박사 >

 

암을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단백질 조립체는 암 치료를 위한 약물 전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단백질 조립체를 약물 전달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암세포를 인식하는 단백질과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약물을 단백질 조립체에 효과적으로 접합시키는 기술즉 기능화(functionalization) 기술이 필수적이다그러나단백질 조립체의 경우 기능화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효율이 낮으며대부분 작은 크기의 화학 약물(chemical drug)의 적용에만 한정되어 실제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클라트린 조립체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생체 내 클라트린이라는 단백질 조립체는 세포 안에서 자가조립(self-assembly)되어 물질을 효율적으로 수송(endocytosis)한다클라트린 조립체는 먼저 3개의 중쇄(heavy chain)와 3개의 경쇄(light chain)가 결합하여 트리스켈리온(triskelion)이 만들어지고이후 트리스켈리온이 자가조립 되어 형성된다연구팀은 이에 착안하여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하기 위해 암세포 인식 단백질과 독소 단백질의 기능화가 용이하도록 클라트린 사슬을 설계하였고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클라트린 조립체(clathrin assembly)를 얻었다. (그림 1) 

그림 1. 연구팀이 개발한 클라트린 조립체 모식도

< 그림 1. 연구팀이 개발한 클라트린 조립체 모식도 >

 

개발된 클라트린 조립체는 원 포트 반응(one-pot reaction)으로 두 종류의 단백질(암세포 인식 단백질과 독소 단백질)을 동시에 높은 효율로 접합시킬 수 있어향후 약물 전달백신 개발 및 질병 진단 등을 포함한 생물 의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종양 표지자인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를 인식하는 단백질을 사용하여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었다. EGFR을 인식하는 단백질로 기능화된 클라트린 조립체는 결합증대 효과(avidity effect)로 인해기존보다 무려 900배 이상 향상된 결합력을 보였다연구팀은 이를 기반으로독소 단백질을 연결한 클라트린 조립체를 세포에 처리했을 때정상 세포에는 영향이 없으나 암세포만 효과적으로 사멸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홍식 박사가 제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스몰(Small)'에 지난 2월 22일 자 19권 8호에 출판됐으며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그림 2) (논문명 Construc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a Clathrin Assembly for a Targeted Protein Delivery) 

그림 2. 국제 학술지 '스몰' 표지논문 그림

< 그림 2. 국제 학술지 스몰 표지논문 그림 >

 

저자인 김홍식 박사는 "클라트린은 기능화가 어렵고 포유류의 세포로부터 추출해서 얻었기 때문에 실질적인 적용이 제한되었다라며 이번 연구에서 새로 설계한 클라트린 조립체는 한 번의 반응으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단백질로 기능화할 수 있고대장균에서 생산 가능하여생물 의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단백질 조립체 응용 기술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양성사업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8 세계의 벽 사뿐히 넘을 잠재력 가득 가능성 무한대… 미래 한국의 대들보 과사무실 2006.10.23 13369
387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7884
386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8029
385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3013
384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4069
383 박태관 교수 Bioconjugate Chemistry 편집위원 선임 과사무실 2007.01.02 12867
382 개교 3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7.02.15 10619
381 고규영 교수님 Circulation Research 논문 COVER게재 과사무실 2007.03.21 14290
380 자연과학대학 우수 강의 교원 및 우수 직원 포상 과사무실 2007.03.29 11349
379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666
378 김진우 교수 경력개발상 수상 과사무실 2007.04.10 15411
377 서연수교수 도약연구지원사업 선정 과사무실 2007.04.23 13341
376 [조선일보] AMPK유전자, 암세포 치료에도 이용...정종경 교수팀 과사무실 2007.05.08 12672
375 초파리의 일주기 리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발견... 최준호 교수 연구팀 과사무실 2007.07.20 13674
374 2007년 국가지정 연구실 선정.. 최길주 교수 연구실 과사무실 2007.07.20 13428
373 생명과학과 출신 곽유상 박사 ... 美 대학교수 됐다 과사무실 2007.07.31 14779
372 김학성교수...독일화학誌에 발표 과사무실 2007.08.01 12693
371 생명과학과 권창섭 연구교수... Trends in Genetics지 논문 게재 과사무실 2007.08.20 14104
370 [조선일보] 생명과학과 김정회교수팀...자일리톨 추출 신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7.08.29 14774
369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43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