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고규영, 김빛내리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발표 '최다'

우리나라 과학자 가운데 세계적인 바이오전문 저널에 논문을 가장 많이 발표한 학자는 고규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와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재단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에 따르면 2002년 5월부터 3년간 등재한 논문은 고 교수와 김 교수가 각각 6회였다.

이는 영향력 지수(IF) 10점 이상의 톱클래스 국제 바이오 저널만을 대상으로 집계한 것이다.

한편 BRIC가 자체 웹사이트에서 소개한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 코너에 3년 동안 세 번 이상 등록된 국내외 한국인 과학자는 총 42명으로 국내 과학자가 24명,해외 과학자가 18명이었다.

장원락 기자 wrjang@hankyung.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9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371
368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214
367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383
366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525
365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385
364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416
363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346
362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634
361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388
360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287
359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205
358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209
357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39
356 [김찬혁 교수님] 말기 고형암 표적 2세대 면역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4.20 153
355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455
354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456
353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448
352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64
351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446
350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10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