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고가의 '에타너셉트' 약제가 환자의 유전자 변이에 따라 약효가 다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자신의 유전자에 따라 효과를 예측해 치료 받을 수 있는 '맞춤치료'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한양대의대 류마티스내과 배상철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강창원 교수 등은 한양대병원에서 에타너셉트로 치료받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권위있는 국제 류마티스 학술지인 류마톨로지(Rheumatology) 4월호에 실린다.

공동연구팀은 "환자의 혈액 샘플에서 분리한 DNA로부터 에타너셉트 효과에 영 향을 미칠 것으로 주청되는 유전자들의 변형을 조사한 결과, T염기를 가지고 있는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최대 12배가량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에타너셉트는 최근 유전공학적 기법으로 개발된 생물학적 제재로 전반적인 약 효는 매우 뛰어나지만 일부 환자에게는 효과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환자 개개인의 약효에 대한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고가의 에타너셉트를 투여해 왔다.

배상철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좀더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고 유전자 검사 방 법의 단가가 인하되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 중에서 에타너셉트 치료효과가 우수한 환자들을 미리 선별해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100여 가지의 류마티스 질환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 면역계가 잘못되어 발생하는 면역성 질환이다.

[김인수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342
364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96
363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347
362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512
361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376
360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402
359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321
358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602
35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369
356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280
355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85
354 [김진우 교수님, 민광욱 박사님] 왼쪽 눈이 본 것을 오른쪽 뇌가 알게 하라​ 생명과학과 2023.03.02 162
353 [김진우 교수님] 새로운 세포핵 단백질의 이동 루트 발견​ 생명과학과 2023.02.28 103
352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445
351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440
350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402
349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05
348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409
347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100
346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358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