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Raghu P. Kataru 박사과정 학생은 세균 감염을 통한 피부 염증 모델 생쥐에서 임파관과 임파절이 항원 및 염증 소멸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CD11b+/Gr-1+ 대식세포로부터 유래된 VEGF-C, -D, -A 가 항원 및 염증 소멸 과정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관련 논문>
Raghu P. Kataru, Kim K, Jang C, Yang H, Reto A. Schwendener, BaiK JE, Han SH,K Alitalo, Koh GY. (2009). 염증성 임파관 형성과, 항원 및 염증 소멸 과정에서의 CD11b+ 대식세포와 VEGF 의 핵심적 역할 규명(Critical Role of CD11b+ Macrophages and VEGF in Inflammatory Lymphangiogenesis, Antigen Clearance, and Inflammation Resolution.) Blood In pres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2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697
61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814
60 [김윤기 교수님] 원형 RNA로 특정 유전자 표적 치료한다​ 생명과학과 2024.12.18 878
59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457
58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843
57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2420
56 [김세윤, 이광록, 조원기 교수님] 암 발생 현상 등 유전자 발현 조절 원리 규명​ 생명과학과 2025.02.03 806
55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806
54 [김세윤 교수님] 2025 KAIST 교육혁신의 날 KAIST 교육혁신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5.05.21 179
53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697
52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1699
51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2142
50 [김상규 교수님] 누구나 천연물 합성 경로 예측 가능하다​ 생명과학과 2024.08.14 1571
49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2409
48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2293
47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2054
46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832
45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4154
44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883
43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1898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Next
/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