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허원도, 김대수, 한용만 교수 공동연구팀은 청색 빛에 반응하는 식물의 광수용체 단백질 (Cryptochrome 2)과 인간의 칼슘 채널 활성화 단백질 (STIM1)을 융합하여 빛에 의해 칼슘이온을 세포 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기술을 암세포, 인간배아줄기세포, 제브라피쉬 등에 적용하여 폭넓은 응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한편 쥐의 뇌 부위 중 해마 (hippocampus)에 적용시켜 쥐의 단기 기억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향후 세포 내 칼슘 조절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각종 질환의 치료법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Optogenetic control of endogenous Ca2+ channels in vivo" 
 
Taeyoon Kyung*, Sangkyu Lee*, Jung Eun Kim, Taesup Cho, Hyerim Park, Yun-Mi Jeong, Dongkyu Kim, Anna Shin, Sungsoo Kim, Jinhee Baek, Jihoon Kim, Na Yeon Kim, Doyeon Woo, Sujin Chae, Cheol-Hee Kim, Hee-sup Shin, Yong-Mahn Han, Daesoo Kim, and Won Do Heo
Nat. Biotechnol. 33, 1092-1096 (2015).

논문관련 뉴스 기사 링크

Nature Biotechnology지 10월호 표지로 선정
 
largecover.jpe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446
53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1441
52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1439
51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431
50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412
49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1406
48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399
4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383
46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377
45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364
4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361
43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323
42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1317
41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316
40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314
39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301
38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300
37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280
36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274
35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272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