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6337 댓글 0
Hee Won Yang, Min-Gyoung Shin, Sangkyu Lee, Wei Sun Park, Jeong-Rae Kim, Kwang-Hyun Cho, Tobias Meyer, and Won Do Heo. (2012) Cooperative Activation of PI3K Signaling by Ras and Rho Small GTPases. Molecular Cell. 47, 1-10

허원도 교수님 실험실의 양희원 박사가 제 1저자로 2012. 6월에 Molecular Cell에 논문이 게재되었다.
바이오이미징기술을 이용하여 세포신호전달과정에서 세포성장, 세포이동, 암전이에 중요한 단백질인 PI3K를 활성화 시키는 21개의 small GTPase들을 찾고 PI3K를 활성화시키는 새로운 조절기전을 규명하였다.

Jae-Kyung Won*, Hee Won Yang*, Sung-Young Shin, Jong Hoon Lee, Won Do Heo, and Kwang-Hyun Cho (Co-corresponding authors). (2012) The Cross Regulation Between ERK and PI3K Signaling Pathways Determines the Tumoricidal Efficacy of MEK Inhibitor. Journal of Molecular Cell Biology. 4(3):153-63.

허원도 교수연구팀 (양희원 박사)은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 (원재경 박사과정, 신성영 박사)과 2012. 6월 JMCB에 BT와 IT의 융합연구를 통해 MEK inhibitor 항암제의 내성기전을 규명한 논문이 게재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4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453
53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1445
52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1444
51 [김윤기 교수님] 저용량 고효율 RNA백신 개발 가능해지다​ 생명과학과 2023.10.24 1437
50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418
49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1411
48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401
47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1386
46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383
45 [김은준 교수님]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유전체 연구를 통한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생명과학과 2022.07.19 1367
4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1362
43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1327
42 [김상규 교수님] 생명과학과의 낭만과학자 Eco Lab 대표 김사부(KAIST 유튜브) 생명과학과 2023.12.12 1322
41 [정인경 교수님] 암, 노화 등에 미치는 게놈 3차 구조의 신규 원리 발견​ 생명과학과 2023.04.10 1322
40 [정원석 교수님] 아동 학대로 인한 정신질환 발병 원인 최초 규명​ 생명과학과 2023.08.01 1316
39 [정인경 교수님] 기저 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의 중증 신규 유전적 위험 인자 규명 생명과학과 2022.09.29 1305
38 [김학성 교수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하는 센서단백질 디자인하다​ 생명과학과 2023.12.08 1303
37 [김은준 교수님] 자폐 진단․ 치료 골든타임, 동물실험으로 확인 생명과학과 2022.09.27 1282
36 [이승재 교수님] 생체 에너지 발전소 부산물로 병원균 감염 제어​ 생명과학과 2023.07.11 1279
35 [김윤기, 조원기 교수님] 비정상 단백질 처리에 관여하는 새로운 인자 발견 생명과학과 2023.10.12 1276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