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나노입자의 특성을 이용해 서로 다른 단백질간 상호작용을 초고속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KA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48)와 오은규 씨(34)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형광을 내는 두 개의 나노입자가 10㎚ 이내로 가까워지면 각자의 형광 스펙트럼이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해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현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2~3㎚ 크기의 금입자와 10㎚ 크기의 반도체 양자점의 두 가지 나노입자에 각각 서로 다른 단백질을 부착하고 이들 두 단백질의 결합 여부를 나노입자 발광 여부를 통해 확인했다.

질병이나 중요한 생체 내 현상은 단백질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이런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높이거나 저해하는 물질이 신약후보가 되기 때문에 이 기술은 앞으로 질병 진단이나 의약품 개발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 과 연관이 있는 두 가지 단백질을 각각 다른 나노입자에 부착시킨 후 나노입자 발광 유무를 확인하면 두 가지 단백질이 결합하는지 알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첨가했을 때 발광 유무를 확인하면 단백질간 결합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신약후보물질을 찾아낼 수 있다.

발광 유무만 확인하면 돼 기존 방법에 비해 고속으로 신약스크리닝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원하는 단백질을 나노입자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나노입자 표면을 단백질 결합이 쉽게 만들고 사용하는 용매에서 용해도가 높고 안정성 있게 만드는 기술이 중요하다. 김 교수팀은 이런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이은지 기자 / 2005-02-22 16: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521
47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484
46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145
45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169
44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3301
43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101
42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1152
41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359
40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2023
39 [교육부] BK21사업 제2회 중간평가 결과 발표 과사무실 2004.12.09 12965
38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4032
37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171
36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995
35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833
34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313
33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111
32 [강석조 교수님] DNA 인식 선천면역인자의 방호패치 발견​ 생명과학과 2023.12.05 1007
31 [KAIST NEWS] 이준식 교수 정년퇴임 과사무실 2003.09.18 21490
30 [HOT100 2019-2020]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질병극복 선도 최고의 과학인재 양성 생명과학과 2019.04.01 7847
29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1427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