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김찬혁 교수

< 생명과학과 김찬혁 교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6월 수상자로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김찬혁 교수를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김 교수는 환자 면역체계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해 퇴행성 뇌 질환 치료 실마리를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치매의 가장 큰 원인인 알츠하이머병은 뇌 안에서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가 이상 축적되는 현상과 타우 단백질의 엉킴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베타 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항체 치료제가 미국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았지만항체 특성상 뇌 안에 염증반응 부작용을 일으켜 인지기능 회복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이 개발한 베타 아밀로이드 제거 재조합 단백질

< 연구팀이 개발한 베타 아밀로이드 제거 재조합 단백질 >

 

김 교수팀은 몸속 세포가 사멸하고 생성하는 과정에서 죽은 세포를 제거하는 포식작용을 활용하는 새 치료제를 개발했다.

 

포식작용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Gas6'을 변형시켜이 단백질이 세포 대신 베타 아밀로이드를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이 방식으로 치료제로 개발한 재조합 단백질(anti-Abeta-Gas6)은 염증반응 없이 베타 아밀로이드를 제거했으며 뇌 신경세포 사멸 부작용도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재조합 단백질은 알츠하이머 질병 생쥐 모델에서도 염증반응 없이 뇌 속에 축적된 베타 아밀로이드 양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손상된 인지능력과 기억력도 항체치료제 투여 때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연구 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슨'에 실렸다.

 

 

김 교수는 "환자 면역체계를 조절해 질병을 치료하는 면역치료는 지난 10년간 항암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치료 분야로 자리매김했으며앞으로 10년은 그 원리가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확대 적용돼 돌파구를 제시할 것으로 확신한다"이라며 "이번 연구가 그런 흐름에 보탬이 돼 고통받는 환자들과 가족들에게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https://news.kaist.ac.kr/news/html/news/?mode=V&mng_no=2935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 "어, 해독제가 항생제로 바뀌네" - 김학성 교수팀 단백질 설계기술 개발 과사무실 2006.02.06 14475
47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4338
46 2005학년도 석림학술장학재단 장학생 - 이영석 박사과정 학생 선정 과사무실 2005.12.29 13012
45 한국, 신종 박테리아 발표건수 68종 세계 1위 - 이성택 교수 세계 2위 과사무실 2005.12.19 14356
44 1단계 BK21사업 성과보고대회 - 우수사업단 선정 및 부총리 표창 과사무실 2005.12.19 11997
43 과사무실 최은주 사무원 - 2005년도 4/4분기 "이 달의 직원상" 수상 과사무실 2005.11.01 11441
42 [한겨레] 생체시계 시간 맞추는 유전자 국내 연구팀이 첫 발견-김재섭 교수팀 과사무실 2005.10.20 11780
41 [한국경제] 고규영 교수 유력 바이오논문 6편 최다 발표 과사무실 2005.09.02 12733
40 [중앙일보] 김재섭 교수 치매 막는 신물질 4종 발견 과사무실 2005.08.08 12917
39 이상기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 취임 과사무실 2005.07.12 14324
38 KAIST 김태국 교수 신약개발 사이언스지 발표 과사무실 2005.07.01 14941
37 노운 세미나실 OPEN 기념식 과사무실 2005.05.18 12949
36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과사무실 2005.03.31 11648
35 [매일경제] 관절염 맞춤치료 길 열린다 - 강창원 교수·한양대 의대 배상철교수 공동연구팀 과사무실 2005.03.30 12661
34 임대식 교수 국가지정연구실사업 신규과제 선정 과사무실 2005.03.30 12187
33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1633
32 남성훈 학생 외 2명 Bioneer Award (2004) 수상 과사무실 2005.02.22 13769
31 배기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5.02.17 12059
30 임대식 교수 외 3명 개교 34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5.02.15 11647
29 김재섭 교수 논문 Nature Genetics 게재 과사무실 2005.01.31 14225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