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는 정밀의학·생명공학 기업 마크로젠[038290]이 후원하는 '제14회 마크로젠 과학자상' 수상자로 카이스트(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47) 교수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김 교수는 '노인성 망막퇴행질환 발생 원인 발견', '어두운 곳에서 명암 인식하는 망막신경세포 발견' 등의 신경 발달 연구 분야에서 성과를 낸 과학자다. 최근에는 망막신경 발달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세포 간 이동을 증명했다. 이는 향후 시각발달과 망막신경 재생 원리를 규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 교수는 일련의 연구 성과가 담긴 20여 편의 논문을 셀리포트(Cell Reports), 이라이프(eLife), 엠보저널(EMBO Journal), 진스 앤 디벨롭먼트(Genes and Development) 등 국제학술지에 발표해 국내 연구 수준을 높인 공로도 인정받았다.


시상식은 이날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17년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열린다.

김 교수는 상패와 함께 1천만원의 상금을 받는다.

마크로젠 과학자상은 기초 생명과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국내 생명과학자를 격려하고 지원하기 위해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와 마크로젠이 2004년 제정한 상이다. 



'마크로젠 과학자상'에 카이스트 김진우 교수

'마크로젠 과학자상'에 카이스트 김진우 교수(서울=연합뉴스) '마크로젠 과학자상'에 카이스트 김진우 교수. 2017.09.12. [마크로젠 제공]


관련: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7/09/12/0706000000AKR20170912062800017.HTM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541
47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499
46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한국뇌연구원 제2회 다한우수논문상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07 1178
45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1180
44 [김대수 교수님] 제약바이오협회, ‘KPBMA-MIT 생명과학 컨퍼런스’ 개최 생명과학과 2022.03.28 3322
43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1125
42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1173
41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385
40 [김대수 교수님] '유퀴즈' 뇌과학자 김대수, 깻잎 논쟁 "절대로 해선 안 되는 행동" 생명과학과 2022.02.17 2050
39 [교육부] BK21사업 제2회 중간평가 결과 발표 과사무실 2004.12.09 12986
38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4048
37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RNA 합성의 세 갈래 끝내기 제시​ 생명과학과 2022.03.31 1188
36 [강창원, 서연수 교수님, 팔린다 박사님] 논문 Nucleic Acids Research 게재 생명과학과 2023.02.17 1015
35 [강창원 명예교수님]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하다​ 생명과학과 2024.07.19 844
34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333
33 [강석조 교수님] 면역관문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기반 면역치료 생명과학과 2025.01.09 151
32 [강석조 교수님] DNA 인식 선천면역인자의 방호패치 발견​ 생명과학과 2023.12.05 1034
31 [KAIST NEWS] 이준식 교수 정년퇴임 과사무실 2003.09.18 21505
30 [HOT100 2019-2020]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질병극복 선도 최고의 과학인재 양성 생명과학과 2019.04.01 7861
29 Thao Phuong Le 박사과정 학생, 최광욱 교수 Nature Communications 게재(2016.05) / Thao Phuong Le, a Ph.D candidate and Prof. Kwang-Wook Choi published a paper in Nature Communications (2016.05) 생명과학과 2016.05.11 11449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