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5438 댓글 0
대한민국학술원은 제57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수상자로 허수열 충남대 교수 등 5명을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학술원상은 우리나라 학술발전에 현저한 공로가 있거나 기여도가 높은 사람에게 수여한다. 1955년부터 총 217명의 수상자가 나왔다.

사회과학 부문 수상자인 허 교수는 <개발 없는 개발- 일제하 조선경제 개발의 현상과 본질>이라는 저서에서 일제 강점기 조선의 농수산업ㆍ공업ㆍ광업 등 경제 전분야의 자료를 처음으로 계량화해 이 기간의 개발이 사실상 도움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했다. 학술원 측은 "한국근대경제사에 이정표를 세운 공이 인정된다"고 설명했다.

자연과학 기초 부문에서는 극초단(100조분의 1초)의 레이저 펄스를 이용한 2차원 분광학을 연구 개발해 이 분야 최초의 저서인 <2차원 분광학>을 쓴 조민행 고려대 교수가 수상했다. 조 교수의 저서를 바탕으로 분자 단위의 매우 빠른 움직임과 생체 반응을 조사 연구하는 것이 가능해져 기초과학적 연구방법론 개발로 이어졌다는 부분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같은 부문에서 카이스트 최준호 석좌교수는 초파리의 생체리듬에 관여하는 새로운 유전자 '투엔티-포'(twenty-four)를 발견해 그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 상을 받았다.

유정열 서울대 명예교수는 유체역학의 난제인 톰스현상(극미량의 고분자 첨가제에 의한 난류항력감소 현상)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한 논문을 작성한 공로를 인정받았고, 김성훈 서울대 교수는 단백질 합성효소가 다양한 세포조절 기능도 수행하는 사실을 새롭게 발견한 연구 논문의 독창성으로 각각 자연과학 응용 부문상을 받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9 [전상용 교수님] 항암치료용 인공탄수화물 기반 나노의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2.07.12 320
388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23
387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332
386 [손종우 교수님] 서울의대동창회, 제25회 함춘학술상 수상자 선정 생명과학과 2022.03.08 340
385 [김세윤, 양한슬 교수님] 장 조직의 항상성과 염증성 장염 회복의 핵심 효소 발견​ 생명과학과 2022.10.07 341
384 충북도,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유치에 KAIST와 '맞손' 생명과학과 2022.03.15 345
383 [김대수 교수님] 액트노바, 카카오벤처스로부터 5억 규모 시드 투자 유치 "육안으로 진행되던 임상·비임상 분야 행동 실험 과정, 인공지능 영상처리 기술로 자동화" 생명과학과 2022.08.10 348
382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352
381 [김대수 교수님] 네이버 열린연단 '자유와 이성' 주제로 시즌9 강연 시작 생명과학과 2022.04.22 352
380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353
379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353
378 [김보람 박사님(서성배 교수님 연구실)] 2022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2.11.09 367
377 [서연수 교수님] ㈜엔지노믹스, 생명과학과에 발전기금 24억 기부​ 생명과학과 2022.10.14 371
376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373
375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376
374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377
373 [이승재 교수님 연구실] 과기정통부, ‘2022년도 건강한 연구실’ 10개 선정 생명과학과 2022.12.12 382
372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384
371 [김세윤, 정원석, 손종우 교수님] 인공지능 기반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로 신규 항암 치료제 발굴 성공 생명과학과 2022.08.12 388
370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39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