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창원 명예교수,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홍성철 교수

< (왼쪽부터)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창원 명예교수,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홍성철 교수 >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강창원 명예교수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홍성철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우리 대학 생명과학과 서연수 교수, 우리 대학 화학과 강진영 교수 연구팀과 협업 연구를 통해 RNA 합성 종결인자의 작동원리에 관한 여러 오래된 논쟁을 한꺼번에 잠재울 수 있는 세 갈래 끝내기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유전자가 발현되는 첫 단계는 유전자 DNA에 맞춰 RNA 중합효소가 RNA를 합성함으로써 유전정보가 DNA 거푸집에서 RNA 생산물로 복사되는 이른바 전사 과정이다이 전사가 어떻게 마무리되는지를 연구하면서, RNA 합성을 끝내게 하는 대장균 전사종결인자 단백질의 작동원리를 규명해지난 30년 가까이 여러 학설이 대립해 온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전망이다. 

전사 과정에서 중합효소에 거푸집 DNA와 생산물 RNA가 함께 붙어있는 전사 복합체로부터 RNA가 분리되는 종결 단계에 이르기 전에 종결인자가 RNA의 특정 위치에 있는 종결 신호에 먼저 붙은 후 앞서 있는 중합효소를 쫓아가서 전사를 종결한다는 작동원리가 1977년에 처음 제시됐다. 

이와 다르게종결인자가 중합효소에 미리 붙어있다가 RNA 종결 신호를 기다려서 전사를 끝낸다는 원리가 1994년에 제안돼 그 후 지금까지 28년 동안 종결 준비 단계에 관해서 두 학설이 맞서 왔는데이번 연구에서 둘 다 실제 일어난다는 것이 확증됐다종결인자가 쫓아가기도 하고 기다리기도 하는데서로 배타적이지 않고 함께 공존한다는 점이 새롭다. 

그 외에생산물 RNA가 분리되는 종결 방식에 관해서도 학설이 분분했다예를 들어종결인자가 전사 복합체에 있는 RNA를 잡아당겨 벗겨내는 방식으로 분리한다는 주장이 2002년에 나왔고이에 반해종결인자가 중합효소를 밀어냄으로써 RNA가 분리된다는 설이 2006년에 제안돼 대립했다. 

또한전사 종결로 RNA가 분리된 후 결과적으로, DNA는 중합효소에 남아서 곧장 재사용돼 쉽게 전사를 다시 시작할 수 있기도 하고그렇지 않으면 RNA와 동시에 DNA마저 중합효소에서 떨어져서 전사 복합체가 일시에 무너져 재사용이 지체되기도 한다는 것이 강창원홍성철 공동 연구팀에 의해 근래 2020년에 밝혀지기도 했다. 

이번 연구에서준비에 관한 2가지방식 2가지결과 2가지 학설이 모두 실제 확증됐다그렇다면 준비-방식-결과의 조합으로 총 2×2×2, 즉 8가지가 가능한데실제로는 일부가 밀접하게 연계돼서 3가지 조합만이 실행된다고 밝혀졌다그래서 세 갈래 끝내기라고 명명됐다더욱이각 갈래의 진행 속도가 서로 달라서 세 차례의 기회가 있는 셈이다. 

첫 기회의 갈래에서쫓아가는 종결인자가 전사 복합체에서 RNA를 잡아당겨 떼어내고 DNA는 중합효소에 남겨두는 방식의 종결을 수행한다이것에 실패하면쫓아가는 종결인자가 중합효소를 밀어내서 DNA와 RNA 둘 다 떨어뜨리는 종결을 진행하는데이 경우가 가장 흔하다마지막에기다리는 종결인자가 중합효소를 밀쳐내서 모두 갈라놓는 종결을 단행한다. 

기다리는 종결인자가 쫓아가는 종결인자보다 중합효소와 먼저 만나기 때문에 더 빠르게 더 일찍 작동하리라고 전문가들이 추정해왔는데실제로는 놀랍게도 기다리는 종결인자가 더 느려서 맨 마지막 기회를 얻는 것으로 드러났다이 세 갈래의 진행 순서는 서로 다른 염기서열의 여러 종결자 DNA에서 바뀌지 않는다는 것도 확인했다.

그림 1. 대장균 전사종결인자의 세 갈래 끝내기

< 그림 1. 대장균 전사종결인자의 세 갈래 끝내기 >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거푸집 DNA와 생산물 RNA에 각기 다른 형광물질을 붙인 후 중합효소, DNA, RNA 셋이 결합한 전사 복합체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낱개로 실시간 관찰하는 생물리학적 연구기법을 창안하고기존에 제안됐던 여러 작동원리를 검증하는 실험을 여러 가지 수행했다. 

특히종결인자가 어떻게 전사 종결을 유도하는지 보기 위해종결인자가 RNA 종결 신호에 먼저 붙은 후 중합효소를 쫓아가서 끝내는 것을 측정하거나그렇지 않고 종결인자가 중합효소에 미리 붙어있다가 종결 신호를 기다려서 끝내는 것을 측정하는 분별 계측법을 독창적으로 개발했다. 

첨단 기술인 단일분자 실험을 전담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송은호 박사과정 학생이 제저자로 참여한 논문(제목Rho-dependent transcription termination proceeds via three routes)이 저명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 올해 3월 29일 字 게재됐다서울대 엄희수 박사, 우리 대학 팔린다 무나싱하 박사, 우리 대학 황승하 대학원생도 참여하여 저자가 총 8명이다. 

이번 공동 연구에 단일분자 형광 기술을 구사하는 물리학자유전자 발현이라는 기본적 생명현상을 탐구하는 생명과학자중합효소나 종결인자와 같은 단백질의 구조를 규명하는 화학자가 두루 참가했다다양한 분야의 전공자가 협업한 다학제 기초연구의 우수 사례이며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KAIST 고위험고성과 연구사업 등의 지원을 받았다. 

 

송은호 제저자는 "어느 학설이 맞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DNA의 한 곳에서 종결하는 종결자의 경우 작동이 단순명료하리라 짐작하고 첫 실험 대상으로 삼았는데뜻밖에 여러 작동원리가 모두 관찰됐고 세 갈래로 복잡했다라며 여러 곳에서 종결하는 다른 종결자 DNA의 경우 오히려 세 갈래가 다 보이지 않기도 해 첫 선택에 운이 따랐던 것 같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 서연수교수 도약연구지원사업 선정 과사무실 2007.04.23 12598
71 김진우 교수 경력개발상 수상 과사무실 2007.04.10 14714
70 [연합뉴스]신종 박테리아 5개중 1개꼴 한국과학자 발견...이성택교수 과사무실 2007.04.04 15007
69 자연과학대학 우수 강의 교원 및 우수 직원 포상 과사무실 2007.03.29 10623
68 고규영 교수님 Circulation Research 논문 COVER게재 과사무실 2007.03.21 13384
67 개교 36주년 기념 우수교원 포상 과사무실 2007.02.15 9986
66 박태관 교수 Bioconjugate Chemistry 편집위원 선임 과사무실 2007.01.02 12048
65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3357
64 정종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12월 수상자로 선정 과사무실 2006.12.11 12330
63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7270
62 [한국경제] STRONG KOREA-한국인 과학자가 뛴다...생명과학 과사무실 2006.11.13 17093
61 세계의 벽 사뿐히 넘을 잠재력 가득 가능성 무한대… 미래 한국의 대들보 과사무실 2006.10.23 12546
60 [경향신문] 뇌에서 시냅스 생성촉진 새 단백질 발견 -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9.18 13345
59 송세라, 박영균 학생 김보정 기초과학장학생으로 선발 과사무실 2006.09.12 13216
58 박태관 교수 나노연구혁신 대상(과학기술부 장관상) 수상 과사무실 2006.09.04 10784
57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1576
56 [중앙일보] 생명과학과 박지혜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수상 과사무실 2006.06.22 13459
55 [동아일보]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김태국 교수팀 과사무실 2006.06.12 11315
54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175
53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4542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