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왼쪽부터)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철호 박사, 김병찬 박사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왼쪽부터)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철호 박사와 김병찬 박사 [사진=한국연구재단 제공]


노령 쥐에 장내 유익균을 경구 투여, 건강 수명 연장 가능성을 확인한 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등 국내연구는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 2021년 12월 15일 게재됐다.(자료=마이크로바이옴·카이스트 조병관 교수팀)
[대전=뉴스프리존] 이기종 기자= 한국연구재단(NRF)은 KAIST 생명과학과 조병관 교수팀이 이철호, 김병찬 박사팀(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공동으로 노령 쥐에 장내 유익균을 경구 투여, 건강 수명 연장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7일 밝혔다.

암, 우울증, 비만, 치매, 당뇨, 노화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과 마이크로바이옴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장 속에 공존하는 수십억 마리의 미생물 군집으로 체내에서 영양분 흡수, 면역체계 조절, 뇌 발달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장내 미생물 구성 역시 끊임없이 변화되며 이러한 변화는 건강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외과적 방법으로 젊은 쥐와 노령 쥐의 혈액을 공유하는 파라바이오시스(Parabiosis) 모델이나 조로증 마우스 모델에 젊은 쥐의 장내 미생물을 전달해 수명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다양한 회춘방법에 따른 노화과정과 장내 미생물군 유전체의 변화는 아직 비교된 적이 없으며 유익한 장내 미생물을 이용해 노령 쥐의 건강 수명을 연장한 연구도 없었다.

이번 연구팀은 이러한 제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화 및 회춘 생쥐모델을 구축하고 장내 미생물 메타게놈 분석을 진행해 아카먼시아 미생물 및 부티레이트(Butyrate) 생합성 경로 관련 유전자들이 회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규명했다.

연구과정을 보면 여러 연령대의 노화 모델을 만들고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과 메타게놈의 기능을 분석했다.

메타게놈 분석은 특정 환경 시료에 존재하는 모든 유전체의 집합을 동시에 분석하는 것으로써 시료 내 존재하는 전체 미생물 군집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군집 내 어떤 대사회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분석 결과, 젊은 쥐에는 유익균으로 알려진 아카먼시아를 포함한 5종의 미생물이 유의하게 높은 비율로 존재함을 확인했고 노령 쥐에서는 유해균으로 알려진 파라프레보텔라(Paraprevotella)를 비롯한 13종의 미생물이 높은 비율로 존재함을 확인했다.

특히 회춘 모델 분석 결과, 3가지 회춘 모델 모두에서 노령 쥐에서 유의하게 많이 발견되었던 유해 미생물은 감소함을 확인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카먼시아 미생물을 노령 쥐에 경구 투여해 마이크로바이옴 패턴을 변경하고 노령 쥐의 장 건강, 근육 기능, 인지능력 그리고 면역체계의 노화 관련 표현형을 개선하는 등 노령 쥐의 건강 수명을 연장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고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 2021년 12월 15일 게재됐다.

http://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5734

https://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2411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232
82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223
»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221
80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1206
79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199
78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198
77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179
76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175
75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165
74 [강석조 교수님] 이행 호염구, 알레르기 매개 세포에 대한 새로운 이해 생명과학과 2023.11.08 1164
73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149
72 [정인경 교수님] 파킨슨병 발병 3차원 게놈 지도 최초 제시​ 생명과학과 2023.05.08 1138
71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129
70 [김상규 교수님] 단일세포 RNA 시퀀싱을 통한 꽃향기 합성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2.02.15 1116
69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114
68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112
67 [최길주, 김상규 교수님] 카오스재단 2022 봄 카오스강연 ‘식물행성 (Plant Planet)’ 에서 강연(4/6) 생명과학과 2022.02.22 1110
66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1109
65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105
64 [전상용, 조병관 교수님] 나노입자로 염증부터 면역치료까지 가능 생명과학과 2023.06.21 1098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