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조회 수 14963 댓글 0
오은규 박사, 강효진 학생, 그리고 최길주 교수는 ChIP-chip analysis를 통해 PIL5 direct target 유전자를 유전체 레벨에서 결정하였다. 애기장대 유전체에는 총 748개의 PIL5 결합사이트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고,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과 비교를 통해, 그 중에서 166개의 유전자가 PIL5에 의해 조절되는 직접적인 하위 유전자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166개 하위 유전자 분석을 통해, 연구팀은 PIL5가 다양한 호르몬들의 합성 및 신호전달을 포괄적으로 조정하고, 세포벽 성질을 바꾸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해서 발아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Plant Cell 2009년 2월호에 발표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 [매일경제] 김학성 오은규 연구팀 나노입자 특성 이용해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 과사무실 2005.03.21 10885
81 [매일경제] 김은준 교수"퍼즐놀이하듯 신경세포 연구" 과사무실 2003.09.23 14282
80 [매일경제] 관절염 맞춤치료 길 열린다 - 강창원 교수·한양대 의대 배상철교수 공동연구팀 과사무실 2005.03.30 11883
79 [매일경제] 고규영 교수 "혈관생성물질 세계 첫 개발" 과사무실 2004.04.14 13478
78 [루닛 서범석 대표] 바이오업계 유니콘 기대 루닛, 서범석 '치료 예측 AI' 고도화 박차 생명과학과 2022.04.27 397
77 [동아일보] 혈관형성 촉진제 이용 만성 신장질환 고쳐요-고규영교수 과사무실 2006.08.03 11555
76 [동아일보] 한국 과학에 세계가 또 놀라다 -정종경교수팀 과사무실 2006.05.04 14530
75 [동아일보] 위암 당뇨 ‘맞춤 치료’ 길 열린다…SNP 지도 첫 완성 과사무실 2006.12.14 13343
74 [동아일보] 뇌 신호전달 작동물질 첫 발견-김은준교수팀 과사무실 2006.04.20 12010
73 [동아일보] 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김태국 교수팀 과사무실 2006.06.12 11299
72 [동아일보] 김은준 교수 젊은 과학자상 수상 과사무실 2004.12.27 11910
71 [대덕넷] 제넥셀, 日 신약개발업체서 외자유치 과사무실 2005.03.31 10905
70 [대덕넷] 임대식 교수"癌 억제하는 유전자 기능 밝혀졌다" 과사무실 2004.02.06 13513
69 [대덕넷] 임대식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수상 과사무실 2004.08.30 12984
68 [대덕넷] 생명과학과 정종경교수... 과기부 2분기 우수과학자 10인 선정 과사무실 2007.09.04 13641
67 [대덕넷] 노화억제 비밀 밝혀낸 김태국 교수...연구성과 집대성 '풀베팅' 과사무실 2006.06.12 14160
66 [김학성 명예교수님] 2023 효소공학상(Enzyme Engineering Award) 수상​ 생명과학과 2023.08.24 177
65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619
64 [김학성 교수님, 김홍식 박사님] 암세포에만 약물 전달 가능한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15 345
63 [김찬혁, 정원석 교수님] 심각한 염증 부작용 없앤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8.22 578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Next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