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노란색)의 전자현미경 사진./호주 멜버른대 도허티 연구소
 
오미크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노란색)의 전자현미경 사진./호주 멜버른대 도허티 연구소

오미크론을 포함해 모든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듣는 항체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앞으로 새로운 변이에 대항할 범용 항체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병하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진은 “오미크론을 포함해 현재 유행 중인 모든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중화(中和)항체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항체 전문 학술지인 ‘단클론항체(mAbs)’에 실렸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인간 세포막에 붙어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시켜 세포 안으로 침입한다. 면역단백질인 중화항체는 스파이크의 수용체 결합 부위에 붙어 세포 침입을 막는다. 하지만 변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수용체 결합부위에 돌연변이가 나타나 항체들이 결합하지 못하고 중화 효과가 없거나 떨어졌다.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에서 돌연변이가 생기지 않는 부분에 강력하게 결합하는 항체를 컴퓨터로 설계했다. 이 설계도대로 햄스터 난소세포에서 항체를 생산했다. 이렇게 개발한 항체는 원숭이 신장세포로 진행한 실험에서 오미크론을 포함해 모든 변이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이전에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를 유발한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1)와 천산갑에 감염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효과를 보였다.

연구진은 이번 항체가 장차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범용 항체 치료제 후보가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오병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항체는 (단백질 성분인)아미노산 서열이 거의 바뀌지 않는 표면에 결합하기 때문에 향후 출현할 수 있는 신·변종 코로나바이러스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치료 물질이 될 수 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ˮ라고 밝혔다.

이번 논문의 제1저자는 카이스트 생명과학과의 정보성 박사과정 연구원이며, 연세대 조현수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소 김균도 박사 연구팀도 연구에 참여했다.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2/02/04/26OM56NEPJG5HNNJE7QC2RJGZ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2002
113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1978
112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1976
111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1976
110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1954
109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1921
108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1918
107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1909
10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877
105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1873
104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1867
103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821
102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818
101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1817
100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787
99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776
98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771
97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764
96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51
95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746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