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생명과학과 Raghu P. Kataru 박사과정 학생은 세균 감염을 통한 피부 염증 모델 생쥐에서 임파관과 임파절이 항원 및 염증 소멸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CD11b+/Gr-1+ 대식세포로부터 유래된 VEGF-C, -D, -A 가 항원 및 염증 소멸 과정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관련 논문>
Raghu P. Kataru, Kim K, Jang C, Yang H, Reto A. Schwendener, BaiK JE, Han SH,K Alitalo, Koh GY. (2009). 염증성 임파관 형성과, 항원 및 염증 소멸 과정에서의 CD11b+ 대식세포와 VEGF 의 핵심적 역할 규명(Critical Role of CD11b+ Macrophages and VEGF in Inflammatory Lymphangiogenesis, Antigen Clearance, and Inflammation Resolution.) Blood In pres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와 약물로 동시에 암을 잡는 신약 개발 생명과학과 2023.08.03 2135
115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134
114 허원도 교수님(유다슬이 박사)_제10회 에쓰-오일 우수학위논문상'의 생명과학 분야 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22 2121
113 [정원석 교수님] 제28회 삼성휴먼테크 논문대상에서 생명과학과 변유경 학생 은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3.02 2102
112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2088
111 한진희 교수님_기억이 만들어지는 원리 최초로 규명했다 생명과학과 2021.07.14 2034
110 [김윤기 교수님] 새로운 단백질 번역기전 규명 file 생명과학과 2023.10.12 2030
109 [이승재 교수님] 생체 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RNA 지표 발견​ 생명과학과 2022.12.08 2022
108 김진우 교수님,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제 15회 '생명의 신비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1.02.18 2021
107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2004
106 [김세윤, 이대엽 교수님] "후성유전 조절하는 핵심 분자기전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2.06.02 1971
105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1953
104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1947
103 [정원석 교수님] 카이스트, 노화된 뇌에서 생겨난 비정상적 별아교세포 ‘아프다(APDA)’발견 생명과학과 2022.08.08 1939
102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1935
101 오병하 교수님_자연에 없는 고감도 단백질 센서 제작 플랫폼 개발 생명과학과 2021.02.08 1882
100 전상용, 송지준 교수님_다양한 변이에도 면역 가능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 생명과학과 2021.06.30 1871
99 [김상규 교수님] 구글도 올라 탄 神으로 가는 길[과학을읽다] 생명과학과 2022.09.07 1870
98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1866
97 [김대수 교수님] “뇌는 무언가 실패하는 순간 발달...‘메타인지’로 창의성 키워야” [이노베이트코리아 2022] 생명과학과 2022.07.18 1840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