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380943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380943노인성 망막퇴행질환 핵심 단백질 찾았다
- KAIST 김진우 교수 `치료제 개발 표적으로 활용 전망`


고령화 진행과 함께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노인성 망막퇴행성질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국내 과학자를 중심으로 한 국제 공동연구진이 밝혀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는 16일 미국, 캐나다 연구진과 함께 생쥐 실험을 통해 종양억제유전자로 알려진 'PTEN 단백질'의 불활성화가 노인성 황반퇴행질환 발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전자와 발생(Genes & Development)에 15일자로 게재됐다.

인간 등 동물의 안구 내에는 멜라닌 색소를 다량 함유한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이 있고 이 세포들은 강한 세포 간 접합체로 연결돼 혈관과 망막 사이의 장벽을 만들어 준다.

하지만 이 장벽은 장기간 흡연이나 망막이 강한 빛에 오랜 시간 노출되는 등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점차 파괴되며 이때 생기는 틈으로 망막 외부 모세혈관에 있던 백혈구가 망막으로 침투, 염증반응을 일으켜 시력을 잃을 수도 있는 노인성 황반퇴행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연구진은 종양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PTEN 단백질이 안구 내 망막색소상피세포 사이의 결합을 유지시켜 망막조직의 형태와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생쥐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연구진이 생쥐의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PTEN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제거하자 이들 생쥐에서는 노인성 황반퇴행현상이 관찰됐다.

연구진은 노인성 황반퇴행질환 생쥐의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PTEN 단백질이 인산화에 의한 불활성화되면서 세포 간 접합체에서 이탈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는 PTEN 단백질이 망막색소상피세포의 구조를 유지시켜 망막퇴행을 억제하는 핵심 단백질이라는 것을 뜻한다.

김 교수는 "그동안 황반퇴행질환 치료제 개발이 진척되지 못한 이유 중 하나는 질환의 시작인 망막색소상피세포의 퇴행을 분자적 수준에서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이 연구에서 밝혀진 PTEN과 그 하부 신호전달체계는 앞으로 노인성 황반퇴행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표적을 정하는 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6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753
115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781
114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2021
113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778
112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748
111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2424
110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518
109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2146
108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862
107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690
106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838
105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663
104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788
103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2462
102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823
101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777
100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826
99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702
98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822
97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685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