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6120074http://www.donga.com/fbin/output?n=200606120074노화억제 신약후보물질 개발…회춘 - 치매치료 가능성 열어

노화된 인간의 세포를 정상으로 ‘회춘(回春)’시키는 물질이 한국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태국(42·사진) 교수팀은 11일 바이오벤처회사 씨지케이(대표 김진환)와 공동으로 인간 노화 억제 신약후보물질 ‘CGK733’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온라인판 12일자에 표지기사로 소개됐으며 실험 방법은 별도로 조만간 ‘네이처 프로토콜’에 게재될 예정이다.

이 저널은 “세포 노화를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였다”며 “김 교수팀은 노화를 억제하고 치매 등 노화 관련 질병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인간 표피세포의 일종(fibroblast)을 시험관에서 3개월간 길렀다.

보통 이 표피세포는 분열을 거듭하며 길쭉한 모습으로 자라는데 3개월이 지나면 노화 단계에 접어들어 분열을 멈추고 옆으로 넓게 퍼지게 된다.

연구팀은 CGK733이 세포 안에서 ATM이라는 단백질과 결합해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김 교수는 “인체는 노화가 진행되면서 주름이 생기고 피부 상처의 아무는 속도가 느려진다”며 “이번 물질을 이용해 주름제거제나 노인용 피부치료제 등을 개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훈기 동아사이언스 기자 wolfkim@donga.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 서성배 교수님_Gut hormone triggers craving for more proteins 생명과학과 2021.05.18 549
64 [송지준 교수님] 호르몬 조절 원리와 구조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2022.05.06 545
63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533
62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519
61 김은준 교수님_시냅스 뇌질환 연구 김은준 IBS단장 “치료약 없는 자폐 연구 도전” 생명과학과 2021.08.23 519
60 [김상규 교수님] 꽃향기, 이젠 눈으로 보세요!​ 생명과학과 2022.05.10 511
59 손종우교수님 UTSW – UT Dallas 국제 공동 연구팀 연구성과_Scientists Identify Source of Weight Gain From Antipsychotics 생명과학과 2021.05.14 501
58 서성배 교수님_동물 뇌 신경세포가 과식 억제한다 생명과학과 2021.06.16 491
57 [임정훈 동문교수님] “초파리로 루게릭병 잡는다” 임정훈 분자생물학자 생명과학과 2022.04.04 489
56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485
55 손종우 교수님_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비만의 원인 규명​ 생명과학과 2021.05.17 475
54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468
53 [오병하 교수님] 뉴스의인물/ KAIST 생명과학과 오병하 교수 생명과학과 2022.03.21 455
52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444
51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443
50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439
49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436
48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435
47 한진희 교수님_ 치매 치료에 열 올리는 KAIST·연구기관 생명과학과 2021.08.18 433
46 서성배 교수님_동물의 식습관을 조절하는 원리 규명해 네이처 게재​ 생명과학과 2021.05.11 428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