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62502011557650002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62502011557650002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국내 연구자들과 세계적인 연구그룹간의 국제협력 연구를 지원하는 `글로벌연구실 사업'의 신규 지원과제 5개를 선정했다.

이번 선정에 따라 BT분야에서 △KAIST 김진우 교수-프랑스 국립고등사범대학원팀 △충북대 장수익 교수-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대팀, NT분야에서 △포스텍 김동언 교수-독일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연세대 이용재 교수-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ㆍ브룩해븐 연구소 ET분야에서 △KIST 남석우 박사-이탈리아 국립신기술자원환경공사 등 총 5개 글로벌 협력팀이 구성돼 공동연구에 나서게 된다.

각 연구팀은 매년 약 5억원의 연구비를 최대 9년간 지원받는다. 이 프로젝트는 노벨상 수상자 등 해외 석학들이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사업이 시작된 2006년부터 올해까지 평균 경쟁률이 17대 1에 달하는 등 국내 연구자들이 높은 관심을 갖고 경쟁하는 사업으로, 그에 따른 연구성과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교과부는 환경과 녹색성장의 중요성이 국제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글로벌연구실 중 녹색분야를 2개 선정 지원하고 앞으로도 녹색 글로벌 연구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KAIST 김진우 교수팀은 세포간 전사인자의 이동을 통한 신경세포의 선택적 분화 유도법을 개발하고, 새로운 새포간 신호전달 방법인 호메오박스(homeobox) 전사인자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충북대 장수익 교수팀은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과 연구에 활동되는 신개념 스마트 액적 바이오칩에 대해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포스텍 김동언 교수팀은 최근 주목받는 아토초(100경분의 1초, 1나노초의 10억분의 1) 과학분야에 대한 연구를 위해 아토초 과학기술센터를 설립하고 첨단 아토초 빔라인을 구축해 관련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연세대 이용재 교수팀은 광물질 제올라이트나 합성 나노포어 물질이 고압인 상태에서 관찰되는 독특한 물리화학적 변화현상을 이용해 새로운 나노기술 개발에 나선다. KIST 남석우 박사팀은 바이오 연료를 사용하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의 전극 내구성과 경제성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 이승희 교수님_시각 정보 인식해 행동 결정하는 대뇌 신경회로 과정 밝혀 생명과학과 2021.08.30 1597
113 양한슬 교수님_ 서경배과학재단 2021년 신진과학자 선정 file 생명과학과 2021.08.31 1643
112 김대수 교수님_“뇌의 본능적 욕구 참고 기다리는 아이, 사회적으로 성공” 생명과학과 2021.09.06 1859
111 2021 Agrwal Award 시상식이 9월 9일(목) 오후 4시_이준혁 학생(정원석 교수) file 생명과학과 2021.09.06 1646
110 2021 대성해강미생물포럼_좌장 조병관 교수, 연사 김대수 교수_21.09.28(화) 13:00~ file 생명과학과 2021.09.13 1634
109 서성배 교수님(김보람 연수연구원)_제20회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file 생명과학과 2021.09.27 2289
108 [이승재 교수님] 건강한 장수를 유도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발굴 생명과학과 2021.11.24 1405
107 [김상규 교수님] 식물 유전자 비밀 푸는 김상규 카이스트 교수 생명과학과 2021.11.24 1961
106 [김찬혁 교수님] 카이스트, 면역관문 신호 극복하는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746
105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567
104 [김학성 교수님] 카이스트, 거대 단백질 구조체를 레고 블록 쌓듯 조립하는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2021.11.24 1690
103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493
102 [이승재 교수님] 국내 연구팀,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새로운 항노화 단백질 찾아 생명과학과 2021.12.13 1640
101 [진에딧 이근우 대표] 한국인이 세운 ‘유전자 가위’ 스타트업… 실리콘밸리가 침흘리는 이유 생명과학과 2021.12.20 2285
100 [조원기 교수님] 세포 기능 결정에 핵심 역할 유전자 발현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2021.12.24 1697
99 [조병관 교수님] 한국연구재단, 노화 방지하고 회춘하는 방법 제시 생명과학과 2022.01.13 1630
98 [정현정 교수님] 유전자 가위로 생체 내 정밀한 유전자 교정에 의한 면역 항암 치료​ 생명과학과 2022.01.18 1700
97 [오병하 교수님] 오미크론에도 듣는 범용 항체, 국내에서 개발 생명과학과 2022.02.04 1552
96 [김찬혁 교수님] 서울대병원, '꿈의 항암제' CAR-T 임상1상 본격 돌입 생명과학과 2022.02.04 1709
95 [이주형 학부생] 포스텍SF 어워드에서 생명과학과 학부생 이주형, 단편 부문 가작 선정 생명과학과 2022.02.10 1538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Next
/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