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명과학과동창회
  • News & Events
  • News

News

별세포의 칼슘 신호 조절해 신경회로 재구성·뇌 기능 회복 유도 -

 

정교한 광유전학 기술로 뇌졸중 후 운동 기능 회복 촉진 효과 확인 -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거나 감소해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으로생존하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발생 시 신속한 처치뿐만 아니라 이후의 치료와 재활이 매우 중요한 이유다.

 

우리학과 허원도 교수가 기초과학연구원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과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공학과 김형일 교수 연구팀과 함께 공동연구를 통해 광유전학 기술을 활용해 별세포(Astrocyte)의 칼슘 신호를 조절함으로써 만성 뇌졸중 후 운동 기능 회복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혔다.

뇌졸중은 고혈압당뇨병고지혈증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데특히 뇌의 피질 아래 심부 구조에서 발생하는 피질하 뇌졸중은 전체 허혈성 뇌졸중의 약 30% 차지하며 예후가 좋지 않다뇌졸중의 치료는 주로 신경세포를 직접 자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강한 자기장을 이용하거나 전극을 부착해 전류를 흘려보내는 식이다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자극 부위의 모든 세포에 비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작용 메커니즘도 명확하지 않아치료 결과의 예측이 어려운 데다 치료 효과도 개인차가 크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진은 신경세포를 직접 자극하는 것이 아닌별세포의 칼슘 신호를 조절하는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다이상규 IBS 연구위원은 별세포는 단순히 신경세포를 보조하는 역할을 넘어 신경세포의 활성과 시냅스 가소성 증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라며, “별세포의 칼슘 신호를 조절해 신경회로를 재구성하고 뇌 기능의 회복을 유도하고자 했다라고 설명했다.

별세포의 칼슘 신호가 증가하면신경세포 활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TP 디세린(D-serine) 등의 신경전달 조절 인자가 분비된다. ATP는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높이고디세린은 NMDA 수용체를 활성화해 시냅스 가소성을 증진시킨다시냅스 가소성은 신경의 연결이 강화·재구성되는 능력으로뇌졸중 후 손상된 신경회로 회복에 필수적이다또한별세포는 신경 회로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글루탐산(Glutamate)을 조절해 과도한 신경 흥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신경 활동을 돕는다.

연구진은 이러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15년 IBS-KAIST가 공동 개발한 광유전학 도구인 옵토스팀원(OptoSTIM1)을 사용했다이 기술은 특정 파장의 빛을 이용해 칼슘 이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시스템이다광유전학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채널로돕신-2(ChR-2)가 여러 이온을 동시에 세포 내에 유입시켜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직접 조절하는 것과 달리옵토스팀원은 세포막의 채널을 통해 칼슘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며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칼슘 신호 조절이 가능하다.

[그림1] 빛 자극을 통한 별세포의 칼슘 신호 유도

 

 

배양된 별세포에 옵토스팀원(OptoSTIM1)과 채널로돕신(ChR2)을 발현시키고특정 파장의 (청색광)을 쬐어주었을 때옵토스팀원(OptoSTIM1)을 발현한 별세포에서 칼슘신호가 유도되어 강하고 오래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연구진은 운동 기능 회복과 관련이 깊은 감각-두정피질 영역의 별세포에 주목했다이 영역은 운동 기능에 밀접하게 관여해뇌졸중 후 손상된 신경 기능을 보완하는 데 핵심적인 부위다연구진은 만성 피질하 뇌졸중을 유발해 운동 기능이 떨어진 생쥐의 감각-두정피질 별세포에 옵토스팀원을 발현시키고머리에 삽입된 광섬유를 통해 빛을 조사해 칼슘 신호를 활성화했다.

[그림 2] 뇌 조직 내 별세포에서의 광유전학적 칼슘 신호 조절

 

 

생쥐 뇌 조직(감각-두정피질 영역)에 옵토스팀원을 발현하고 빛을 쬐어주게 되면 별세포 선택적으로 칼슘 신호를 조절할 수 있다칼슘 신호는 빛을 쬐어준 후 1분 이내에 최대로 올라가고이는 10분 정도 유지될 수 있다.

[그림 3] 뇌 조직 내 별세포에서의 광유전학적 칼슘 신호 조절

뇌졸중 유도 후 옵토스팀원 기술을 통해 별세포의 칼슘 신호를 조절하면 운동 기능 회복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볼 수 있다운동 기능의 측정은 단일 펠릿 도달 작업(Single pellet reaching task)을 통해 평가했다이는 실험 동물이 투명한 상자 안에서 작은 슬롯을 통해 앞발을 뻗어 바깥에 놓인 먹이를 집어 올리는 행동을 평가해 운동 기능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험 결과옵토스팀원으로 치료한 생쥐 그룹은 앞발을 사용하는 정교한 운동 기능이 향상됐을뿐만 아니라 운동 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확인했다한쪽 앞발을 사용해 투명 장치 틈 너머의 작은 먹이를 잡아내는 실험에서 뇌졸중 생쥐 대비 약 1.5배의 이상의 성공률을 보였으며개방 공간에서의 이동성이동 거리속도 등이 모두 증가하는 운동 능력의 전반적 향상이 관찰됐다무엇보다하루 1시간씩 2주간의 저강도 빛 자극만으로도 운동 능력이 회복됐는데이는 별세포의 칼슘 신호 조절이 뇌졸중 후 운동 기능 회복에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허원도 KAIST 교수는 옵토스팀원 기술의 성공적인 적용은 우리 연구팀이 개발한 광유전학 기술을 통한 정밀 뇌기능 조절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향후 뇌 전체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버전의 옵토스팀원 개발과 함께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넓혀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달 31일 게재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4 강창원 교수 교무처장 인사발령 과사무실 2004.08.03 13555
173 강은채 학생 창의활동상 수상 과사무실 2004.02.20 14019
172 靑 과기보좌관에 '여성과학인' 이공주 교수 임명 file 생명과학과 2019.02.22 6412
171 故 박태관 교수님의 명복을 빕니다. 과사무실 2011.04.11 14176
170 故 박태관 교수가 남기고 간 '흔적'…세계적 학술지 '주목' 과사무실 2011.05.12 16255
169 ‘올해의 KAIST 교수상’ - 김재섭 교수 과사무실 2005.12.30 14642
168 [허원도, 윤기준 교수님] 제51주년 개교기념식 개교기념 우수교원 포상 및 특별포상에서 학술상, 우수강의상 수상 생명과학과 2022.02.16 1626
167 [허원도, 김재훈, 손종우 교수님] 제54주년 개교기념식 우수교원 포상 생명과학과 2025.02.14 222
166 [허원도 교수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24년도 정회원 선출 생명과학과 2023.12.04 1085
165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뇌 기능, 행동, 감정을 자유롭게 조절한다​ 생명과학과 2021.12.03 1501
164 [허원도 교수님] 빛으로 기억 조절해 정신질환 치료 가능성 열어 생명과학과 2024.07.15 852
» [허원도 교수님] 머릿속 별세포를 비춰라! 새로운 뇌졸중 치료 전략 제시 생명과학과 2025.02.14 141
162 [허원도 교수님] 기억하고 인지하는 과정을 실시간 관찰하다 생명과학과 2024.01.10 1206
161 [허원도 교수님] 경암교육문화재단, ‘제20회 경암상’ 수상자 발표 생명과학과 2024.09.30 802
160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정밀제어기술로 유전자 치료 성큼​ 생명과학과 2024.02.14 1481
159 [허원도 교수님] RNA 유전자 가위 기술로 코로나바이러스 싹둑 생명과학과 2023.05.04 1521
158 [한진희 교수님] 카이스트, 뉴런(신경 세포) 교체에 의한 기억저장 규명 생명과학과 2021.11.24 1577
157 [한용만, 허원도 교수님] 광유전학적으로 인슐린 분비 조절성공…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췌도 오가노이드 개발 생명과학과 2023.03.24 1579
156 [한국의 AI 추격자들] 서범석·백승욱 루닛 창업자 file 생명과학과 2020.10.30 4354
155 [한국경제] 한국인 생명과학자가 최근 발표한 주요 연구 과사무실 2006.11.13 18293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3 Next
/ 23